•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분석과 발전 방향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6.12
13P 미리보기
한국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분석과 발전 방향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지도학회지 / 6권 / 1호
    · 저자명 : 김종혁

    목차

    요약
    Abstract
    I. 지명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과현황
    1. 지명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
    2. 지명의 분류와 지명데이터베이스의 보유현황
    II.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분석
    1. 지명DB의 필드구조
    2. 웹서비스 현황
    III. 지명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발전 방향
    1. 자료원의 확장
    2. 지명유형의 확장(1) : 주제값
    3. 지명유형의 확장(2) : 양태값
    4. 이명에 대한 관리체계 확장
    5. 시간 DB 설계의 확장
    6. 공간 DB 설계의 확장
    7. 지명 관리 시스템
    IV. 맺음말
    參考文獻

    초록

    이 글은 한국의 지명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주요 내용은 현재 국토지리정보원에서 확보하고 있는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저본으로하여 향후 확장할 수 있는 범위와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좀더 발전된지명DB의 구축방향을 모색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DB는 엑셀프로그램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구조를 확장하는 데에 별 지장이 없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데이터베이스의 필드구조를 분석하고 구축 당시 동원된 자료원(資料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확장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는 지명유형에 대한 분석, 이명(異名)에 대한 분석, 지명의 시간값에 대한 분석, 지명의 공간값에 대한분석 등이 핵심을 이룬다. 지명데이터베이스 구축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정부 차원에서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며, 아울러 구축된 지명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효율적으로 서비스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objective or the necessity of construction of gazetteer, the source materials, and the structure of database. Later, I will also briefly mention the way of utilizing this database. The Constructing database of the placenames of Korea is to extract placenames in the text materials of Korea, and then to geo-reference the exact position on the topographic maps. The source materials for contructing of database are old, modern and present maps and the geographical dictionaries and geographical books. The basic frame of this database is granting subject value, spatial value, and time value to each placename. The subject value is being set by classifying types of placenames and signifying mode. The spatial value is being set by coding the past location and contemporary location as administrative district and digitized by geographical coordination. The time value is determined by the original published point of time of resource text. Giving time value to the place names is useful for managing their longitudinal records. Mode value of placename is determined by point, line and polygon and this is required for regulating relationships among placenames. The placename type classification can be used for understanding locality or local culture. When local governments make new placename, this database can be useful resource for them. Moreover, by identifying culture diffusion way, economic military movement way, and the positions of transportation, commercial and religious facilities, it can do a key role in reconstructing old times landscape, and can be a basic resource for institutional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지도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