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國의 長城資源調査事業과 장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3.10
22P 미리보기
中國의 長城資源調査事業과 장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성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성곽학보 / 24권
    · 저자명 : 이성제

    목차

    1. 머리말
    2. 중국의 長城資源調査事業과 長城保護條例
    3. 中國長城學會와 새로운 장성 개념의 창출
    4. 장성의 새로운 정의와 유적의 재해석
    5. 맺음말 - 중국의 장성학과 우리의 과제

    초록

    이 글은 중국의 장성자원조사사업(2005∼2014)에서 보이는 새로운 장성의 정의는 무엇이며 논리적 근거로 삼은 것은 어떤 것인지, 거기에는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살핀 것이다. 이제 중국은 길게 이어진 성벽과 거기에 세워진 關門만이 아니라 烽燧나 城堡와 같이 점점으로 떨어져 있는 시설물까지 장성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들도 성벽과 유사한 방어선으로 파악하여 장성 성벽이 없더라도 장성으로 기능했다고 보는 것이다. 또한 북방의 胡人을 막기위해 세운 장벽만이 아니라 漢人이 세우지 않은 장벽이라 해도 장성자원에 넣고 있다. 축조 주체가 누구인가의 구분 없이 역사상 명멸했던 제 왕조 모두를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장성을 민족 융합의 장으로 보려는 중국 당국의 의도를 반영한 것이지만 장성은 고대 중국인과 다른 민족의 경계를 구분짓고 이동을 차단하기위한 구조물이라는 종래의 이해를 대체하기엔 여전히 역부족으로 보인다. 장성은 그 자체가 정치 군사적 경계이자 민족적 경계인 것이다. 또한 중국 학계는 西北지역의 漢代변경유적 연구를 근거로 삼아 東北지역의 烽燧線과 郡縣의 城城을 장성 방어체제의 일부로 간주하였다. 하지만 두 지역의 봉수선은 분포형태와 기능에서 전혀 다른 유적이었다. 서북지역의 봉수선은 군현의 前方에 위치하여 최전선이 되었던 것에 반해 동북지역의 것은 군현 내의 성곽을 연결하는 형태를 이루었다. 또한 전자는 봉수선의 전면에 방벽(塞)이 축조되어 방어선을 이루었지만, 동북지역에서는 새가 찾아지지 않는다. 街道를 따라 설치된 봉수선(道上燧)인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장성자원조사사업이 의지한 새로운 정의는 서북지역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는 제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를 근거로 동북지역에서 기존에 알려져 있던 유적을 재해석하여 장성 유적으로 간주한 것은 결코 학술적인 연구방법이라고 볼 수가 없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lves into the new definition of China's Great Wall, what logical grounds are involved for the definition and what problems arise therefrom in regards with China's Great Wall Resource Investigation Project (2005~2014). Nowadays, China regards facilities like beacon fire stations or fortresses that are away from the Great Wall of China itself as part of the Great Wall, not to mention the long walls and gateways. Chinese people view facilities without ramparts as functioning as part of the Great Wall of China by identifying them as similar defense line. Not only the ramparts built to prevent Northern barbarians (胡人), but those built by other peoples rather than by Han Chinese(漢人) are regarded as the Great Wall resources. Irrelevant of who built the Great Wall of China, all the dynasties in Chinese history become the Great Wall builders. Although, such an understanding reflects Chinese authorities' intention to regard the Great Wall of China as the arena to harmonize ethnic groups, it is still insufficient to replace the previous understanding that it is a structure to draw boundaries with other peoples and block the movement of ethnic groups different from ancient Chinese. The Great Wall of China itself is the political, military and ethnic boundaries. The Chinese academia regards the beacon lines formed along beacon fire stations(烽燧線) and the fortresses of counties and prefectures (郡縣, administrative units) in the northeastern region as part of the defense system, based on the studies on the remains in the frontiers of the China's Han Dynasty in northwestern region. The beacon lines of the two regions are totally different remains in terms of distribution type and function. The beacon line in northwestern region was located in the forward areas of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thus, became the front line. Meanwhile, the beacon line in the northeastern region was a type of line connecting fortresses within counties and prefectures. The former became the defense line by building bulwarks in the frontline areas of the beacon line, but, the bulwark is not found in the northeastern region. Actually, the beacon line in the northeastern area was built along the thoroughfare. The new definition of the Great Wall of China by China's Great Wall Resource Investigation Project can only be restrictively applied to the northwestern region. Based on this, it cannot be viewed as an appropriate academic research method to regard the existing remains as the ones of the Great Wall of China by reinterpreting those in the northeastern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성곽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