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제 한계산성의 역사와 유적에 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3.05
42P 미리보기
인제 한계산성의 역사와 유적에 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성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성곽학보 / 23권
    · 저자명 : 유재춘

    목차

    Ⅰ. 머리말
    Ⅱ. 산성 관련 역사와 문헌자료 검토
    Ⅲ. 유적의 현황
    1. 지리적 위치
    2. 성벽 유구 및 부대 시설물지
    3. 수습 유물
    4. 산성 출입로
    Ⅳ. 산성의 사용시기 및 특징
    1. 사용시기
    2. 특징
    Ⅴ. 맺음말

    초록

    한계산성에 대해서는 그간 정확한 규모나 상성, 하성의 구조와 접근로, 기타 내부 건물지나 부대시설물지에 대한 현황이 분명하게 파악되지 못하였는데, 지난 2010년부터 필자가 조사하여 새롭게 확인된 사항은 대략 다섯가지이다. 첫째는 상성과 하성의 구분이 명확하게 확정되었다는 점이다. 종래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되어 있는 바, 상성(上城)과 하성(下城)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구분이 분명하지 않아 막연하게 천제단 근처가 상성이라고만 여겨져 왔으나 이번 조사에서 상성의 구조와 위치가 명확해 지게 되었다. 둘째는 하성의 새로운 건물지가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기존에 하성내에서는 계곡부 동측에서만 건물지가 확인되었으나 이번 조사에서 그 계곡 반대편에도 여러 건물지와 바위그늘 주거지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는 상성내에서 새로운 유물 출토지를 찾았다는 점이다. 기존에 상성내에서의 유물은 대부분 대궐터에서 수습되었으나 이번 조사에서 여러 곳에서 새로운 유물이 채집되었다. 넷째는 산성 원성(元城)과 별개로 축조된 돈후(墩堠) 시설물이 2개 지점에서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교통로에 대한 근접 감시는 물론 일시적인 차단을 통한 지연전을 전개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다섯째는 산성으로의 다섯가지 출입로가 정확하게 파악되었다는 점이다. 산성의 운용과 관련하여 출입로 파악은 매우 중요한 사항인 바, 이번 연구를 통하여 산성으로의 접근로가 명확하게 파악되게 되었다. 한계산성은 초축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고려사(高麗史)에 기록되어 중세시기 활용에 대한 명확한 역사기록을 가지고 있다. 특히 대몽항전(對蒙抗戰)의 마지막 단계에서 승전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1259년(고종 46) 몽고에 투항한 조휘 일당이 몽고 군사를 끌고 와서 산성을 공격하였으나 점령하지 못하였고 오히려 산성을 지키고 있던 방호별감(防護別監) 안홍민(安洪敏)이 야별초군(夜別抄軍)를 거느리고 나아가 습격해 모두 섬멸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중부내륙 지역이 몽고의 약탈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것은 이 전투에서 승전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려 공민왕 당시 반원정책을 추진하면서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자 한계산성을 확장하면서 크게 개축한 것은 바로 대몽고전에서 승전하였다고 하는 사실과 직접 관련이 있다. 그러한 역사적 의미 뿐만 아니라 한계산성은 중세시기 험지위주 산성의 전형적인 사례로, 성곽의 확장, 별설의 돈후(墩堠) 시설물 축조 등 중세 산성의 특징적인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ere has been no definition information on Hangye mountain fortress including accurate size, upper fortress and lower fortress structure, entrance route, internal building site and subsidiary facility site. The below has been figured out through this study. Firstl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upper fortress and the lower fortress has been clearly clarified. There was no accurate understanding and distin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ortresses in existing records. Thus, it was conjectured that the upper fortress might be the one near Cheonjedan. But, this study made clear structure and location of the upper fortress. Secondly, the new building site of the lower fortress was confirmed. In the existing lower fortress, building site was found in the east of valley area. But, this investigation found that there were various building sites and stone shadow dwellings at the opposite side of the valley. Thirdly, a new relic excavation site was found in the upper fortress. Majority relics in the existing upper fortress were collected at the palace site. But, new relic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places in this investigation. Fourthly, Donhu (defense facilities made outside the fortress to monitor attackers and to prevent them temporarily) facilities were found at two sites apart from Wonseong mountain fortress. These facilities were established to make a close monitoring of traffic route and to take delay of attack by means of temporary blocking. Fifthly, accurate entrance route to the mountain fortress was figured out. The entrance route in relation with the use of mountain fortress is very important, and this study makes it clear. While the initial construction period of Hangye mountain fortress was still a matter of conjecture, there is an apparent record of use in the 13th century. In particular, this is a historic place to win over the Mongolian invasion by Goryeo at the final stage. Thanks to the victory of this battle, the central inland of the country could escape from the plunder of the Mongolian troops. When there was a severe military tension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min in Goryeo because of the Anti-Won Dynasty policy, Hangye mountain fortress was expanded and hugely renovated, which was directly related to the victory of the battle against the Mongolian troops. Besides such historic meaning, Hangye mountain fortress is a typical case of a mountain fortress built at a rugged mountain in the middle ages, which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mountain fortress such as expansion of existing fortress wall and construction of Donhu fac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