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說文解字에 나타난 漢字字源 硏究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6.12
25P 미리보기
說文解字에 나타난 漢字字源 硏究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字漢文敎育 / 17권
    · 저자명 : 李忠九

    목차

    Ⅰ. 서론
    Ⅱ. 『說文解字』 槪要
    Ⅲ. 字形解說과 字義의 相關關係
    Ⅳ. 字義의 國語 註釋 適宜性 問題
    Ⅴ. 部首 增損
    Ⅵ. 결론

    초록

    본고는 說文解字 의 字形解說과 그에 의한 字義를 살펴보고 國語註釋의 適宜性을 따져보고 部首의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현금의 漢字註釋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部首의 增損을 통해 그 수효의 재조정을 추구한 것이다. 위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작업은 說文解字槪要, 字形解說과 字義의 相關關係, 字義의 國語註釋適宜性問題, 部首增損을 다루었다. 설문해자 개요에서는 설문 의 체제ㆍ내용 그리고 六書의 표현양식 등을 제시함으로써 설문 에 대한 기본 인식을 꾀하였다. 字形解說과 字義의 상관관계에서는 자의와 자형해설을 대비함으로써 자의에 자형해설이 적용되는 실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의의 國語對譯語제시를 추구하였다. 자의의 국어 주석 적의성 문제에서는 설문 의 한자 주석이 국어 주석으로 표현될 때의 경향을 살피고, 그 적의성의 밀착과 불밀착을 지적하였다. 部首增損에서는 설문 부수 540부수가 현재의 214부수로 변동되었으나, 그것이 계승된 실상을 살피고 증손할 부수를 제시하였다. 이 작업은 설문 의 한자해설의 경향을 드러냈고, 標題字의 字義와 자형해설의 관계를 밝혔고, 한자의 국어 주석의 정밀성을 꾀하였고, 부수 수효를 증손시키는 논의를 제기한 것이다. 이는 결국 한자의 訓詁및 자형 배열 문제에 일조를 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s follows ; Firstly, it reviews the shapes and meanings of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book of Seolmunhaeja. Secondly, it shows to what extent the Korean interpretations or commentaries of the Chinese Characters are correct. Thirdly, it tries to put the proper orientations of the interpretations on the Chinese letters by way of studying the making way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Lastly, it claims that the number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could be reexamined through the ways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m. In the introduction, it roughly explains the whole contents of the Book including the general system of the Book and the six ways of making Chinese letters. In the next chapters, it focuse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shapes and meanings of letters, especially seeing it that the shapes have influences on the meanings. And it tries to find out what the correct Korean commentaries of the Chinese meanings are. When we examine how they are put into Korean, we shows whether the Korean translations are correct or not. In the part of dealing with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we should say the fact that the original 540 basic characters in the Book has been decreased to the current 214 and how it was happened. In addition, we divides between the necessary basic characters to be added and the unnecessary one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to make apparent the ways of interpreting Chinese Characters in the Book, the relations of the shapes and meanings of the letters, and the problem of the Korean commentaries. Above all, it is meaningful that we claims the need for increase or decrease of the basic characters. As a result, the study will contribute the ways of interpreting Chinese Characters and arranging the order of them in the dictiona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字漢文敎育”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