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간언어 정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12.08 최종저작일 2015.10
20P 미리보기
중간언어 정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연구 / 43권
    · 저자명 : 신승용

    목차

    1. 서론
    2. 언어의 정의로 본 중간언어 정의의 문제
    3. L2 학습자 언어의 실체
    4. 결론
    참고문헌

    초록

    L2 학습자의 언어를 중간언어로 부르든, 근접체계로 부르든 용
    어의 문제는 자의성의 문제이므로 사회적 약속의 문제이다. 하지만 L2 학
    습자의 언어에 대한 정의는 순수 언어학적으로나 응용언어학적으로나 연
    구를 위한 출발점이자 근간이다. 연구 대상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한 상태
    에서 대상을 제대로 연구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에
    서는 L2 학습자의 언어에 대한 기왕의 중간언어 정의에 대해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L2 학습자 언어의 실체를 구명하고자 하
    였다. 기왕의 중간언어 정의에 따르면 L2 학습자의 언어는 L1도 아니고
    L2도 아닌 제3의 언어이고, 그 제3의 언어는 학습자마다 개별적이어서 동
    일한 중간언어를 가진 학습자가 존재할 수 없다. 그런데 아직까지 언어학
    적으로 언어를 정의하는 핵심은 랑그인데, 이러한 중간언어는 동일한 중
    간언어를 사용하는 언어 집단을 상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랑그 역시 설정
    할 수 없는 언어이다. 본고에서는 L2 학습자의 언어 습득을 L1과 L1에 포함된 UG로부터 출발하여 여기에 L2가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덧붙어 가는
    과정으로 해석하였다. L2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L1도 아니고 L2도 아닌 제
    3의 영역이 존재해야 할 이유도 없고, 또 실제 그러한 영역이 존재한다는
    실질적인 증거도 없다. L2 학습자의 언어가 발달한다는 것은 결국 L2가
    정교화되는 과정이다. 그렇다면 정교화되기 전의 그것 역시 논리적으로
    L2일 수밖에 없다. 다만 발달 과정에 있는 L2는 L2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
    의 L2와 달리 부족하고 불완전한 L2일 뿐이다.

    영어초록

    It is just a problem of social promise related with arbitrariness that we call
    L2-learner's language interlanguage or approximate system and so on. But what is
    L2-learner's language, that is to say, the definition of L2-learner's language is really
    important. It is a starting point and basis to study L2-learner's language
    pure-linguistically and applied-linguistically. Because, only if a definition of object
    must be clear, we can study it properly. In this view, I critically reviewed
    definitions on L2 learner's language in previous research, and tri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L2 learner's language. According to definitions of interlanguage in
    previous research, it is neither L1 nor L2, it is just third language unlike L1 and
    L2. And according to definition, interlanguage differs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That is to say, it is indiosycratic. So any L2 learner cannot have the same
    intelanguage. A basic concept to define a language is langue still. But we cannot
    assume a language community that use the same interlanguage. So we also cannot
    assume langue of interlanguage. Because langue is a rule system that people in a
    social community share. Nevertheless, if we assume langue, that is a individual
    langue applying just one person. On this thesis, I explained L2 language acquisition
    as a process that L2 is gradually expanded and attached to L1. This explanation
    is based on supposition that there is UG that L1 and L2 is sharing. There isn't any
    reason that we suppose third area in L2 learner's language that is neither L1 nor
    L2 during L2 acquisition, also there isn't clear evidence that the area exist. So
    called, a language that is neither L1 nor L2 is, in fact, just the other side of L2.
    That L2 is developing is a process for L2 to be complicate. So L2 that isn't fully complicated is also one side of L2 logically. But it is just defective and imperfect
    L2 unlike native speaker's L2.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