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시아 이민여성의 가정내 학대 문제해결방식에 대한 연구: 매사추세츠 사례를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10.12 최종저작일 2015.06
16P 미리보기
아시아 이민여성의 가정내 학대 문제해결방식에 대한 연구: 매사추세츠 사례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과권리 / 19권 / 2호
    · 저자명 : 양효현

    목차

    I. Introduction
    Ⅱ. Methodology
    Ⅲ. Conclusion
    Ⅳ. Discussion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미국의 매사추세츠주에 거주하는 아시안 이민여성들의 가정 내 학대에
    관한 문제해결기술을 분석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질문으로는
    첫째, 미국 매사추세츠주 지역의 가정폭력 관련 기관을 방문한 아시아 이민여성들
    이 경험한 학대유형을 구분할 수 있는가? 둘째, 아시안 이민여성들이 학대상황에
    서 사용하는 문제해결기술은 어떤 것이 있는가? 셋째, 학대상황에서 사용하는 문
    제해결기술과 학대경험은 관계가 있는가이다. 이러한 연구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미국 매사추세츠주 지역의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기관에서 가정 내 학대를 경험하
    였다고 상담한 아시안 이민여성을 대상으로, 가정 내 학대유형과 문제해결방식을
    양적분석하고, 그들의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를 결합하는 복합적 사례연구를 실시
    하였다. 분석결과 가정 내 학대유형 중 신체적 폭력의 경우 학대 상황의 대응전략
    중 “상황을 피하는 전략(avoidance-oriented coping)”과 가장 높은 관계를 보이는 것
    으로 나타났다(.422). 이러한 결과는 사례연구 결과 미국 내 아시아 이민여성들의
    대부분이 가정 내 학대를 경험하더라도 도움을 줄 수 있는 기관을 방문하지 않거
    나 방문하더라도 축소하여 보고한다는 것을 설명해준다. 지역 내 자신의 언어를
    사용하는 상담사가 없고, 가정내 학대에 관한 정보나 도움을 줄 수 있는 기관이
    부족하기 때문에 가정 내 학대를 경험하더라도 일단 상황을 피하는 대응전략을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황을 피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아내의 경
    우 지속적인 학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가정의 자녀들 대부분
    아동학대를 경험하더라도 신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갈수록 증가
    하는 매사추세츠주 지역 내 아시아 이민가정의 가정내 학대뿐 아니라 특히, 보고
    되지 않는 아동학대를 발견하고 예방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영어초록

    The study investigates Asian Americans' coping strategy related to domestic abuse.
    The subjects filled out questionnaires measuring domestic violence through the
    revised Conflict Tactic Scales (CTS2) and coping strategies using the Situation
    Specific Scale (CISS: SSC).
    The participants were asked if they had experienced abuse in their relationships.
    The results shows that more than five of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physical
    assault or suffered injuries from their partner. The result shows that 94% of the
    women questioned had experienced psychological aggression and 6% reported no
    instances of psychological aggression. Most reported having used negotiation skills
    during their conflicts.
    12.5% reported having never experienced any injuries during domestic disputes,
    and 87.5% indicated having been injured. 12.5% reported needing medical services
    due to injuries sustained in domestic disputes, and only two participants reported
    needing medical attention for their injuries but not having sought assistance. The most
    common forms of physical assault reported included being slammed against the wall
    at 37%, being shoved at 28%, having their arm twisted at 19% and being burned or
    scalded at 16%.
    Approximately 87.5% applied the problem_focused coping strategy in which one
    uses cognitive efforts to manage stress. 93% reported using the emotion_focused
    coping strategy. 75% utilized the avoidance_oriented coping strategy, in which one
    directs the attention away from the stress. The data shows that the avoidance_oriented
    coping strateg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types of domestic abuse. The
    strongest independent variable is between the avoidance_oriented coping strategy and
    injury(.422). The findings suggest that those subjects in need of help after a domestic
    altercation did not seek any attention.
    The women in this study also expressed a lack of access information or resources
    on domestic abuse, Which could be due to the lack of the cultural and linguistic accessibility of services In Massachusetts.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reatment is
    often a very effective way to combat domestic violence, but it has to be accessible
    to those who need it. Most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were aware their
    child had also been abused but, had not reported the abuse in order to preserve the
    family. If domestic abuse is not reported, the child may learn helplessness. When the
    child witness is abused, this can be harmful to the child because, it can be a
    potentially traumatic situation for them as well as cause them to feel resentment.
    Hiring interpreters, bilingual staff and creating culturally competent services in
    shelters, counseling centers, outreach programs and even police departments can be
    very helpful in making programs more approachable and eff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동과권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