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치병활인금척>과 <머슴의 꿈> 설화유형의 한일 비교(2) -<머슴의 꿈> 설화를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9.04 최종저작일 2015.06
48P 미리보기
&lt;치병활인금척&gt;과 &lt;머슴의 꿈&gt; 설화유형의 한일 비교(2) -&lt;머슴의 꿈&gt; 설화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40권
    · 저자명 : 박연숙

    목차

    1. 머리말
    2. 한국 자료 검토
    3. 일본 자료 검토
    4. 비교 분석
    5. ‘금척설화’와의 관련성
    6.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이 논문은 불치병을 치료하고 죽은 사람도 살리는 자(尺)의 모티프를 공유하는 <치병활
    인금척>과 <머슴의 꿈> 설화에 대한 연구이다. 일본의 동일 유형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지
    역적인 상이점을 도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금척설화’와의 관계도 해명해보려는 연구
    의 후속 작업이다. 이 논문에 앞서 <치병활인금척>의 한일 유형을 분석하였고, 이번에는
    <머슴의 꿈>에 대하여 다루었다.
    <머슴의 꿈>은 남의 집에서 머슴살이를 하는 주인공이 대몽을 꿨다며 자랑만하고 그 내
    용을 알고자 하는 상류층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아 처벌을 받는 중에 생사를 관장하는 주
    보를 획득하여 고귀한 여성 둘의 생명을 살려 그 여성들과 결혼하여 부귀영화를 누림으로
    써 꿈을 실현하였다는 내용이다. 이처럼 설화의 내용에서 대부분 한일 모두 공통되며 일부
    구성이나 요소, 그리고 주인공이 꾼 꿈의 내용 등에는 차이를 보인다. 주제에 있어서는 두 나라 모두 주된 전승자인 서민 남성들이 현실에서는 이루기 어려운 이상적인 삶을 꿈을 통
    해 경험해 보려는 마음을 담았는데, 그들이 원하는 이상적인 삶이란 비범한 능력을 갖추어
    상류계층에 진입하고 고귀한 신분의 건강한 여성과 결혼하여 생리적 만족과 함께 안정된
    가정을 꾸려 부귀영화를 누리는 것이다. 또한 꿈에 대한 신앙에 의지하여 이상적 삶을 체험
    함으로써 삶의 자세를 터득하려고 하였는데, 한국의 설화에서는 포부와 두둑한 배짱을 가
    지는 삶의 지혜를, 일본은 기지에 의한 고난극복의 지혜를 가져야된다는 의식이 나타난다.
    이처럼 <머슴의 꿈>은 꿈 실현을 주안으로 한 꿈 설화이며, 전설적인 성격을 띤 <치병활
    인금척>의 주보설화와는 치병활인주보를 공유하지만 별개의 유형이다. 이 설화의 서구형에
    서는 ‘꿈 실현’을 골자로 하면서 치병활인주보의 모티프 대신에 난제해결의 모티프가 구성되
    는데 그것이 한국의 설화에서는 ‘치병활인의 자’로 전환되어 있고 거기에 ‘명의설화’도 수용
    하여 자로 공주와 천자의 딸 생명을 살려 영달하는 후반부의 에피소드로 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룬 두 설화유형은 박혁거세 ․ 이성계금척신화와 함께 ‘금척’ ‘꿈’ ‘치병활인’
    등이 서로 얽혀 있고 얼마간의 수수관계를 가져서 전승 계통에 혼란을 야기하여 ‘금척설화’
    로 논의되었는데 이번 분석을 통해 그들의 관계는 분명해졌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s a follow-up study, compares two kinds of folktales,
    Chibyeong Hwalin Keumcheok and Farmhand's Dream, created based on the
    similar motif of a measuring rod healing incurable disease and bringing a dead
    person back to life, and the same types in Japan, investigates factors in common
    and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based on the results, analy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wo types and its relation with ‘Keumcheok (a golden
    measuring rod) folktales’. The previous study has analyzed the Korean and
    Japanese types of Chibyeong Hwalin Keumcheok, and this research investigates
    Farmhand's dream.
    The Korean and Japanese types of Farmhand's Dream can be summarized
    that the main character working as a farmhand boasts that he has had a big
    dream but has not accepted the noble’s request on disclosing its content, so
    he has come to be punished. However, as obtaining magic objects controlling
    life and death during the punishment, he comes to save lives of two noble
    women’s. Accordingly, he finally gets married to those women and lives in
    wealth and honor, which menas he ultimately realizes his dream. In this way,
    its contents are mostly common, but some part of its composition or factors, and the dream content of the main characters appear differently. When it comes
    to the subject, both types describe desires to achieve ideal life which is hard
    for ordinary males, the main transmitters, to realize in the reality, but they want
    to experience through dreams. In other words, what they dream of as ideal
    life is entering the upper class with extraordinary abilities, marry women from
    noblesse, and ultimately live in splendor by satisfying physiological needs and
    making stable family. In addition, they also try to acquire attitudes in life
    through the experience of ideal life by depending on belief on the dreams,
    which shows two different senses of each nation, wisdom of life with aspiration
    and plenty of courage in Korean’s and wisdom of overcoming hardships through
    change in attitudes in Japanese’s.
    Accordingly, Farmhand's Dream and Chibyeong Hwalin Keumcheok are two
    different folktales, based on placing the focus on the realization of dreams in
    Farmhand's Dream and sharing magic objects for Chibyeong Hwalin in
    Chibyeong Hwalin Keumcheok, but shown differently in part. The western-type
    of this folktale, based on the realization of the dream, consists of a motif
    addressing dilemma not emphasizing magic objects for Chibyeong Hwalin,
    which is changed into ‘a measuring rod curing disease and bringing a dead
    person back to life’ and adds ‘Myeongeui (renowned doctor) folktale’ in the
    Korean’s. Subsequently, this part makes the final episode whose content is
    about saving lives of Korean Princess and daughters of the son of God, as the
    measuring rod and eventually realizing advancement in life. The two types of
    folktales concentrated on this research has been discussed as ‘Keumcheok
    folktale’ by causing confusion in the transmission system since ‘a golden
    measuring rod’, ‘dream’ and ‘curing disease and bringing a dead person back
    to life’ are all involved just like Keumcheok myths of Park, Hyeokgeose
    (progenitor of Silla) ․ Lee, Seong-gye (founder and the first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y are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in part,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eventually makes their relations accurat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