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컴퓨터 테크놀로지 교실적용의 종합모형 -Knezek, Christensen, Hancock, 그리고 Shoho(2000)의 연구를 중심으로-

1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4.08 최종저작일 2002.01
14P 미리보기
컴퓨터 테크놀로지 교실적용의 종합모형 -Knezek, Christensen, Hancock, 그리고 Shoho(2000)의 연구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19권 / 3호
    · 저자명 : 주호수

    목차

    I. 서론
    II.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활용과 학업성취
    III. Kenzek, Christensen, Hancock, Shoho(2000)의 모형
    IV. 학생변인을 고려한 컴퓨터 테크놀로지 교실적용 모형
    V. 장애요소들을 고려한 컴퓨터 테크놀로지 교실적용의 종합모형
    1. 테크놀로지 적용의 장애요소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연구는 Knezek, Christensen, Hancock 그리고 Shoho(2000)과 Rogers(2000) 외 컴퓨터 테크놀로지 적용의 장애요소 연구들을 토대로 교사, 학생 그리고 교육환경의 차원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교실적용의 종합모형을 논의하였다. 이 모형은 Knezek(2000)연구를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컴퓨터 테크놀로지에 대한 의지, 기능, 그리고 활용시간 등의 세 가지 중심요소들을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삼았다. 또한 이 모형은 Rogers(2000) 등의 연구들을 통해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교실적용에 장애요소들을 교사와 학생과 관련된 환경변인의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끝으로, 이 모형은 교사와 학생의 컴퓨터 테크놀로지 적용수준을 자기평가 방법을 통해 몇 가지 단계로 평가될 수 있으며, 이들 수준과 학업성취도와 관련성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Accountability for computer technology expenditures is a hot issue at the national educational level. Justification for this expenditures is being question by many people, as well as the effects of technology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Despite the availability of technology, individual classroom teachers tend to avoid the use of computer-based technologies(Rogers, 2000). Knezek, Christensen, Hancock, and Shoho (2000) tried to find out if technology investment can contribute to student achievement using a model for integrating technology into the classroom. The model contains three indicators of teacher attributes in the areas of will, skill, and technology. Two teacher self-report measures of technology integration are used as outcome measures for the level of technology infusion into the classroom. The model was started from the hypothesis for technology integratio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In the model Knezek, et al.(2000) focused on only the teacher without thinking of the relation of student and learning environment for technology integration into the classroom. According to Rogers(2000), Krysa(1998), Duttweiler(1983), and Maddux(1998), there are many barriers from external and internal sources to technology adoption. Then Knezek et al(2000) do not consider these obstacle's elements to integrate technology into the classroo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a synthesized model for integrating technology into the classroom through previous research from Knezek et al.(2000) and Rogers(2000). The model started from the research of Knezek et al. (2000) has formulated a model with three key elements to be necessary components for effective integration of technology into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the classroom. The model also is based on research studies on barriers to technology adoption(Rogers, 2000; Krysa, 1998; Duttweiler, 1983; Maddux, 1998). There are four characteristics in the new model. First, the model is presented along with considering that not only the teacher, but also the stud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a computer technology classroom can contribute to student achievement. Second, the model includes three basic elements of relation with integration of technology: teacher and student attitude(will), skills of technology competency, and access hours to technology. Third, the model can be a way to overcome the barriers of computer technology into the classroom. Finally, the model also showed the assessment possibility of stages of adoption of computer technology into the classroom.
    However, the model has to be warranted further testing in additional studies. One important aspect contentiously identified is the predictability of student achievement based on the level of technology integration. Other important aspects to be tested are the predictability of classroom technology integration based on teacher and student measures of will, skill, and access to technology. The other important aspect is how to measure five key elements of technology in the learning environment: social and political views, technical support, education, budget, and quality/quantity of hardware and software. The three components operating as equal integral parts will result in a better overall student achie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