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교육대학교에서의 통합교육 담당교사 교육의 방향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4.08 최종저작일 2004.01
21P 미리보기
교육대학교에서의 통합교육 담당교사 교육의 방향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1권 / 2호
    · 저자명 : 이대식, 김수연, 신현기, 이은주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II. 연구 방법
    1. 조사 연구 대상
    2. 조사 절차
    III. 연구 결과
    1. 초등 일반교사 대상 통합교육 대비 교사교육 실태
    2. 초등 통합교육 대비 교사교육 요구분석
    3. 전문가 집단을 통한 요구조사 결과의 타당화
    IV. 논의
    V. 제안
    1. 교유과정 편제 및 운영 측면
    2. 교육내용과 강의 운영방식 개선
    3. 연수 프로그램 확대 및 질적 개선
    VI.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글에서는 장차 초등 통합학급을 담당할 일반 예비교사들에게 특수교육 관련과목을 어떻게 지도해야 할 것인가를 논하였다. 먼저, 초등 통합교육 관련 당사자들 (학부모, 교사,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초등 통합학급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자질에 관한 요구조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이상적인 초등 통합학급 교사는 장애학생 및 특수교육 전반에 관해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갖고, 특수아 교육에 대해 공유된 책임의식을 가지며, 통합학급 내에서 발생하는 학업적, 행동적 문제를 유능하게 처리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사람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교육대학교에서의 특수교육 강의는 실제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다룸으로써 통합학급에서 수행되는 수업은 물론 돌발적으로 발생되는 문제도 적절하게 해결할 수 있는 운영 능력을 육성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각 교육대학교에서의 현재 특수교육 지도 실태는 여러 가지 점에서 이상적인 통합학급 담당 교사를 양성하기에는 여러 면에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각 교육대학교에서 필수 혹은 선택 형태로 진행되는 특수교육 강좌는 한 학기 2학점, 총 30시간 정도의 시수로 운영되고 있어 그 정도의 양과 질로서는 유능한 통합학급 담당 교사를 양성하기에 역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교육대학교에서의 바람직한 통합교육 담당 교사 교육 방향을 크게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 측면과 개별 강의 개선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전자 측면에서는 특수교육 관련 필수 교과 신설 및 특수교육 심화과정 혹은 초등특수교육 학과 신설, 특수아동 관련 활동 적극 소개 및 권장, 교육실습 활동에 특수교육 관련 활동 지정, 그리고 교육대학원 초등 특수교육 전공 양적 및 질적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교육내용과 강의운영 방식 측면에서는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주요 강의 내용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공유된 책임 의식, 통합학급 내에서의 교수-학습 지도, 문제 행동 해결, 그리고 공동 협력 등을 제안하였다. 강의 운영 방식으로는 실제사례 중심의 문제 해결식 접근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현직 통합학급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수 프로그램의 확대 및 질적 개선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special education program for educati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ter reviewing current special education program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schools, we assessed needs of parents, teachers, and professors for a high-quality special education programs. Currently, most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ake only a 2-credit introductory special education class.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urrent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each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far from sufficiency for providing professional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ccording to our survey, ideal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ere identified as possessing appropriate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or special education and sharing responsibility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duc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interviewees also emphasized general education teachers' proficient problem solving capability for various behavioral or academic problem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Accordingly, special education programs i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must focus on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ability to provide effective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the survey and reports on current special education programs in the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we suggested several innovative approaches to improve special education programs in those institutes. In term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management, we recommended the followings : ① offering more mandatory special education classes, ② offering an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major, and ③ enhancing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programs. In terms of improving individual special education classes, educators should focus on critical areas rather than a whole range of the special education field. Some of those areas could be shared responsibility and appropriate attitudes toward special education, proficient problem solving abilities with academic and behavioral problems occurred in inclusive classrooms, and collaborative working. In addition, case-based lectures and increased in-service teacher training were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