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석교사제 시범운영의 실태분석과 대안 탐색 :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4.08 최종저작일 2009.01
22P 미리보기
수석교사제 시범운영의 실태분석과 대안 탐색 :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6권 / 4호
    · 저자명 : 전제상, 박영숙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수석교사제의 추진 경과와 개념 및 의의
    2. 수석교사제 시범운영 주요 내용
    3. 수석교사제 시범 운영의 쟁점사항
    III. 연구방법
    1. 연구의 대상
    2. 조사 도구
    3. 자료처리
    IV. 결과 분석 및 논의
    1. 수석교사 시범운영 전반에 대한 이해
    2. 수석교사제의 성과
    3. 수석교사제 성과의 촉진요인 및 저해요인
    4. 수석교사의 핵심 역할
    5. 수석교사의 수업 전문성 기여도
    6. 수석교사에게 요구되는 바림직한 자질
    7. 수석교사 지원 요구 내용 및 과제
    8. 수석교사의 피로도
    9. 수석교사의 수업시수 및 적정 수업시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수석교사제는 교직사회에서 과도한 승진경쟁구도를 완화하고, 교사의 수업전문성 개발을 위해 2008년 3월부터 시범 운영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실태 분석을 통하여 제도 정착을 위한 대안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수석교사제는 1981년 이래로 교직사회의 핵심 쟁점이 되어왔으며, 2008년도 수석교사제 시범운영의 성과와 보완 및 지원 사항 등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교원, 학부모 및 학생, 수석교사, 장학사를 포함하여 총2,072명이었고. 회수율은 약74.5%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ver 15.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석교사의 역할은 수업지원활동과 교과교육관련 외부활동 등에 참여함으로서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설문조사를 통한 현장의견 수렴결과는 단위학교에서 수석교사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정체성의 혼란과 역할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석교사에 대한 지원체제가 아직은 미흡하였다. 앞으로 수석교사에 대한 위상과 역할, 임용방식과 인원, 처우 등의 실제적 지원을 통해 시범 운영에서 제기된 문제해결의 방법 등을 제시하였고, 교직 전문성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제도 기반에 요구되는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seek alternative exploring of improvement for the Model Operation of Head Teachers System since March 2008. The creation of head teacher position has been a topic of national debate in Korea since 1981.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survey questionnaire of 3 category were developed for distribution to subjects. 2,072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to the school for Model Operation of Head Teachers, 1,543 (74.5%)of which were received and treated for frequency and cross-tab analysis using SPSSWIN ver 15.0. It was also shared among those teachers that a new personnel system should be developed which would promote teachers to develop leadership in the teaching implementation through legislation of head teacher system. The role of head teachers is expected to lead systematization of learning in school by enhancing subject matter speciality through support for class teaching and management along with outside of school subject matter support activities. As for proper treatment for head teachers, it was perceived that they should not be assigned to the duties of department head or homeroom while 20% loosening of class load is not sufficient enough. It was suggested that exemption from teaching to equal that of vice-principal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Monthly research fund of 150 thousand won is perceived to be appropriate though it is not enough compared to that of vice-principal. A fair degree of conflicts is expected to arise due to overlapping roles of vice-president and head teacher. Also, based on the findings, a few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head teacher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