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Becoming” Myself as a Researcher:Incorporating Autoethnography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Art Education

1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4.08 최종저작일 2015.01
18P 미리보기
“Becoming” Myself as a Researcher:Incorporating Autoethnography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Art Education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조형교육 / 53권
    · 저자명 : Sunghee CHOI

    목차

    I. Starting Up
    Ⅱ. Becoming a Korean Femal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 at the United States
    Ⅲ. Becoming an Invisible Researcher into a Visible Researcher
    Ⅳ. The Meaning of “Becoming” a Visible Researcher
    V. Autoethnography as a Research Methodology:How the Personal can be a data for a research study?
    Ⅵ. Wrapping Up!
    References

    초록

    오토에스노그래피라는 질적 연구방법론은 연구자가 속한 그룹 또는 장소
    에 관련한 연구자 자신의 경험을 탐구/탐색하고, 그 경험을 드러내고 분석함으
    로써 연구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이나 연구 현장의 사회 문화적 성격을 밝히는
    연구 방법론이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방법론으로 오토
    에스노그래피를 선택하기까지 저항과 수용의 과정을 ‘한국인으로서 미국에 유
    학중인 박사과정 여학생’이라는 연구자 개인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탐구한다.
    연구방법론으로써 오토에스노그래피의 특징은 단순하고 사소해 보이는 개인적
    인 경험이 맞닿아 있는 사회 문화적 지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
    서 본 논문은 ‘여성’과 ‘소수자’로서 연구자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이 미술교
    육이라는 학문분야에 공헌할 수 있는 지점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토에스노그래피에 대한 저항은 본 연구자가 외국 유학생 신분으로 소
    수민족이라는 점을 비롯해 여성이라는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에 대
    한 저항이었으며, 방법론에 대한 수용 또한 개인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행위가
    촉발시키는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인 중요성에 대한 자각에서 비롯되었음을
    말하고 있다. 이 방법론을 사용함으로써, 연구의 정보원이며 분석가이기도한
    연구자인 ‘나’는 본인 자신에 대하여 사고할 개념적 공간을 창출할 수 있었고,
    ‘나’의 사적 경험이 내가 속한 사회의 사회적 문화적인 담론과 만나는 지점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공간을 창출하기’ 또는 ‘나 되기’의 경험은 들뢰즈
    와 가타리가 주장한 ‘여성되기’ 또는 ‘소수자 되기’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전
    남성의 ‘여성-되기’ 속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여성의 ‘여성-되기’가 남성의 ‘얼
    굴성’과 ‘다수성’을 교란시킬 수 있는 동인이 되는 것처럼, 오토에스노그래피
    를 연구방법론으로 하는 연구를 통하여 소수성을 지닌 소수자가 ‘소수자-되기’
    를 시도할 때, 그 연구는 해당 연구 분야의 ‘얼굴성’과 ‘다수성’을 변용시킬 수
    있는 교란의 시초로 기능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Autoethnography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rough which the researcher
    investigates a group or research setting by exploring her or his own individual
    experiences, thus revealing the researcher in the settings. In this study, I will explore my
    own identities as a Korean international female graduate student and researcher regarding
    the issue of choosing a research methodology for my doctoral dissertation. In doing so, I
    will highlight what autoethnography, as a research methodology, can contribute to the
    field of art education. I resisted using autoethnography when I began my dissertation but
    later incorporated it as my methodology because I learned the significance of revealing
    my own identities in the process conducting research. Autoethnographic text-writing
    allowed me the conceptual space to think about myself and reflect on the personal, social,
    and cultural dimensions of my experiences. In Deleuze and Guattari’s words, becoming
    myself as a Korean international female graduate student and researcher in a research
    setting implies ‘becoming-woman’ and ‘becoming-minoritarian,’ which are different from
    being identified as a woman and minority. I believe revealing the identities of a
    researcher in this way of ‘becomings’ through autoethnography can build self-reflectivity
    and self-awareness in a researcher, thereby helping a researcher notice the undercurrent,
    which is usually hidden in research settings. These kinds of research findings from the
    undercurrent would become a driving force to disturb the majority in a research set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