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四端七情論爭으로부터 心卽理로- 사단칠정논쟁에 대한 華西ㆍ蘆沙ㆍ寒洲의 결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4.08 최종저작일 2014.01
34P 미리보기
四端七情論爭으로부터 心卽理로- 사단칠정논쟁에 대한 華西ㆍ蘆沙ㆍ寒洲의 결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15권
    · 저자명 : 金基柱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사단칠정논쟁과 조선후기 성리학의 전개
    Ⅲ. 사단칠정논쟁과 심즉리, 그 내적 연관성
    Ⅳ. 華西ㆍ蘆沙ㆍ寒洲의 심즉리와 사단칠정논쟁
    Ⅴ. 맺는 말

    초록

    이 논문은 이항로ㆍ기정진ㆍ이진상 3인이 보여준 ‘심즉리’를 사단칠정
    논쟁과의 관련성 속에서 이해해 본 것이다. 그것은 이황과 기대승에 의
    해 시작된 사단칠정논쟁 이래 학파와 학파 사이에, 혹은 특정 학파 내부
    에서 300년 동안 지속된 논쟁과 입론의 과정이 어떻게 그리고 왜 하필
    이면 ‘심즉리’, 곧 이들이 공통으로 보여주고 있는 학문적 지향으로 드러
    나게 되었는지 묻고 그 답을 찾아보는 것이다. 이것은 결국 사단칠정논
    쟁과 ‘심즉리’의 연관성을 묻는 것이자, 이황과 기대승 사이에서 시작된
    사단칠정논쟁이 조선후기 300년의 시간 속에서 형식을 달리하며 지속되었고, 그 결론이 마침내 ‘심즉리’로 나타나게 되었음을 확인하는 것이기
    도 하다.
    이황이 직접적으로 주장하지 않았을 뿐, 리발 그리고 사단과 칠정의
    이질성에 대한 긍정, 그리고 그것을 통한 도덕적 정감의 위치를 확정함
    으로써 이미 이론적으로 ‘심즉리’에 근접해 있었다는 사실에서 보자면,
    그를 계승하여 이진상의 ‘심즉리’가 등장한 것은 전혀 의외가 되지 않는
    다. 그런 의미에서 퇴계학을 계승해 마침내 ‘심즉리’를 표방하며 등장한
    한주학은 이황의 문제의식과 지향을 더욱 철저하게 관철시킨 것이라고
    이해된다. 반면 이항로와 기정진의 ‘심즉리’는 기대승과 이이의 시각을
    계승할 경우 결과적으로 도덕주체가 부정되어버리는, 곧 ‘기발리승일도
    설’과 ‘심시기’의 이론체계에 내재해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두 사람
    의 선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들의 시각 자체는 이미 율곡학으로부터
    벗어나 버렸지만, 그들의 문제의식은 여전히 기대승과 이이에 닿아 있다
    는 측면에서 이들은 기호학파의 인물이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ains ‘Mind is Li’ demonstrated by three persons,
    Lee Hangro, Gi Jeongjin, and Lee Jinsang, with relevance to the
    Argument of Seven-Four Theory. It is about asking and answering
    questions regarding this: After the Argument of Seven-Four
    Theory was initiated by Lee Hwang and Gi Daeseung, the process
    of the argument continued for 300 years among schools or even
    within a school, but why did it become exposed somehow as ‘Mind
    is Li’(心卽理), that is, the academic goal that those persons
    commonly pursued. This is also about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gument of Seven-Four Theory and ‘Mind is Li’ after
    all and also verifying that the Argument of Seven-Four Theory
    started between Lee Hwang and Gi Daeseung continued in different
    forms for 300 years in late Chosun, and the conclusion finally
    appeared as ‘Mind is Li’.
    From the fact that Lee Hwang just did not insist it directly, but
    it was already close to ‘Mind is Li’ theoretically as affirming Ribal
    (理發) and the difference between Sadan(四端) and Chiljeong(七情)
    and also fixing the position of moral feelings through that, it was
    not a strange thing at all that Lee Jinsang’s ‘Mind is Li’ appeared
    afterwards by succeeding to him. In this sense, we can understand
    that Hanju's Learning that finally appeared as succeeding to Toegye's Learning and supporting ‘Mind is Li’ did accomplish Lee
    Hwang’s critical mind and pursuit more thoroughly. Meanwhile, we
    can also understand that Lee Hangro and Gi Jeongjin’s ‘Mind is Li’
    was the two’s choice to solve the problem internalized in the
    theoretical system of ‘one way that ki is generated and then li
    follows it’ and ‘Mind is Ki’, that is, if they had succeeded to Gi
    Daeseung and Lee Yi’s point of view, it would have denied the
    moral subject after all. Their viewpoint itself already was
    estranged from Yulgok's Learning, but their critical mind still
    reached Gi Daeseung and Lee Yi; in this sense, they were the
    members of Giho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