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손룡자』『지물론』해석 - 지(指)와 속성 보편주의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1.01
30P 미리보기
『공손룡자』『지물론』해석 - 지(指)와 속성 보편주의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24호
    · 저자명 : 손영식

    목차

    1.『지물론』 원문 분류
    2. 『지물론』 구조 분석
    3. ‘指’의 의미
    4. 본문 해석 및 설명

    초록

    1) 지물론 은 대화체가 아니라 논문형이다. 그러나 그 안에 대화 형식이
    들어 있다. “주장 - 반론 - 주장 2개 - 반론 - 주장 2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물론 은 내용이 매우 짧다. 더군다나 나오는 낱말이 몇 가지 되지 않는다. 대부
    분의 문장은 “ ” 등의 부정사, 혹은 “ ” 같은 어조사
    등으로 범벅이 되어 있다. 의미를 나타내는 낱말은 “ ” 등
    몇 가지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물론 이 전달하는 정보는 분량이 극히 제한되어
    있다. 정보를 전달하는 기본적인 문장은 서너 개에 불과하고, 그 문장을 이중 부정
    이나 인용, 끝말잇기 등으로 재탕하고 있다. 따라서 지물론 은 해석하기 매우 곤
    란하다. 또한 가장 기본이 되는 의 의미가 ‘가리키다, 가리켜지다’의 두 가지가
    있다. 이것을 , , 등의 구절에 대입하면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
    진다. 이래서 짧은 원문은 갈수록 뒤엉겨지게 된다.
    2) 난해한 지물론 을 해석하는 전략은 이렇다. ⑴ 전체 구조를 ‘주장-반론’ 형식
    으로 나눈다. 그러면 대략 7 부분, 22 문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⑵ 끝말잇기 논증
    ; 지물론 저자는 ‘~ ’ 라는 구절의 인용 형식을 통해서, 끝말잇기 논증을 한다.
    이는 논리학이 아니라 수사법이다. ⑶ 문법적 치환 ; 낱말이나 구절을 문법적으로
    치환하는 것이 지물론 의 구조와 의미 이해에 중요하다. 예컨대 같은 이
    중 부정은 줄이면 ‘ ’가 된다. 는 이중 부정이므로 소거한다.
    3) 이런 전략을 통해서 파악한 지물론 의 내용은 단순하다. 지은이는 주관( )도
    아니고 객관( )도 아닌, 그러나 주관과 객관이 만나는 지점인 ‘ ’(= )의
    존재를 주장한다. 가리킴( )은 지각하는 것, 즉 주관의 작용이다. 가리킴-지각의 대
    상은 사물( )의 속성이다. 사물 자체는 아니다. 예컨대 돌멩이가 있다면, 돌멩이
    자체는 지각되지 않는다. 다만 돌의 ‘단단한, 하얀, 둥근’ 등의 속성만 지각될 뿐이
    다. 그 속성을 지물론 저자는 ‘ ’ 혹은 ‘ ’라고 한다. ‘사물-가리켜짐’
    ( )은 사물의 속성이다. 그 속성이 주관이나 객관과 독립해서 존재한다고 한다.
    속성 보편주의이다.
    반면 반대론자는 의 존재를 부정한다. ‘ , ’가 그의 기
    본 주장이다. 요컨대 사물의 속성의 존재를 부정하고, 대신 사물 자체를 주장한다.
    즉 ‘돌멩이’라는 이름( )의 보편성을 주장한다. ‘단단한, 하얀’ 등의 속성은 그 이
    름에 부수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는 묵가의 사물 실재론과 통한다.

    영어초록

    1) “On Pointing & Thing”( , zhǐ wù lùn ; ZWL) consists of treatise style, not of
    conversation format. But a conversation format is found inside ZWL. It is composed of
    "thesis - antithesis - 2 theses - antithesis - 2 theses".
    ZWL is very short. Moreover there are few words. Because most sentences include
    negatives like “ ”, or particles such as “ ”. And only
    several words carry information - “ “ etc.
    So the information ZWL contains is restricted strictly. There are only three or four
    sentences that deliver theory. ZWL repeats that sentences such form as a double negation,
    quotation, sequencing of last word or phrase.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analyze
    ZWL.
    The ' ' is essential, but it has two meanings ; ① pointing, ② pointed. If we apply
    the two meanings to " , , ", there are too many number of cases. So
    the small text of ZWL is all in a tangle.
    2) My tactics to analyse knotty ZWL are three ;
    ⑴ Classifying ZWL text according to thesis & antithesis. Then I can divide it as 7
    parts, 22 sentences.
    ⑵ Argument by sequencing of last word or phrase ; An author of ZWL uses ‘~ ’
    style paragraph to quote the last word or phrase of former sentence. Quotations make
    sequence. This argumentation is not a logic, but a rhetoric.
    ⑶ Grammatical substitution ; It is quit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
    meaning of ZWL that I transpose the words or phrases grammatically. For example, '
    ' substitutes ‘ ’, since double negation such as ' ' is eliminated.
    3) It is simple of the content of ZWL to be grasped by that tactics. ZWL author
    argues the existence of ‘ ’(= ) which is neither subject( ) nor object( ), but
    is the spot that subject & object meet. Pointing( ) is perceiving, i.e. function of subject.
    The target of pointing-perceiving is the attributes of thing( ), not the thing
    itself(substance).
    For instance, here is a stone, stone itself is not perceived, only the attributes such as
    'hard, white, etc' are perceived. ('stone itself' is constructed by mind with attributes.) ZWL
    author take ‘ ’ as a attribute. 'Thing-pointed'( ) is the attributes of thing. The
    attribute consists itself independently of subject or object. This is a attributive universalism.
    The opponent deny the existence of . His basic assertion is ‘ ,
    ’. In short, he denies the existence of attributes of thing, and argues the thing
    itself. Attributes such as 'solid, white' is the concomitant to the thing. Name is attached to
    the thing. He lays stress on the universality of name. This leads to the Mohist realism of
    t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