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의 방향 및 과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2.01
20P 미리보기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의 방향 및 과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 5권 / 3호
    · 저자명 : 이숙정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이해지평의 확대
    Ⅲ. 중도ž중복장애 학생의 교과교육 현황
    Ⅳ. 나오는 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하여 우선 2011 특수교육 교육과
    정의 편성, 운영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시작으로 현행 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주요쟁점을 규
    정하였다. 나아가 중도중복장애에 대한 이해 지평 확대를 통해 중도중복장애 교육개념을 점검하
    고, 국내 교과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편성,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쟁
    점에 대해 국외의 중도중복장애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 사례를 논의하고, 문해교육 및 다감
    각적 스토리텔링(MSST)를 구체적인 교수학습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Recently, several policies in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SMD) are being implemented to facilitate students’ participation in subject learning.
    However, there still exist critiques and disagreements towards this policy in special education
    community. This various discourse regarding to this policy is constructive, but the
    perspectives toward these most discourses are lean to functionalism of curricular
    implementation, not educational backgrounds even if students with SMD are students
    themselv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MD in the
    2011 National Curriculum. To achieve this aim, First, this study explore the phenomena of
    SMD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 with SMD. Second, it criticise the educational aims
    and curricular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in the 2011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critical exploration, this study suggested some tasks to effectively organize and implement
    specia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focus concretely educational goal in real students level, to
    select emphasis of subject lesson-activities according to students group, to expand support
    system to uplift teacher competency for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ubject
    lesson-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