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투사적 이미지를 활용한 연극치료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1.01
32P 미리보기
투사적 이미지를 활용한 연극치료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극예술치료연구 / 1권
    · 저자명 : 이가원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심리학에서의 투사
    2. 연극치료에서의 투사
    Ⅲ. 투사적 이미지 활용의 연극치료 실제 사례
    Ⅳ. 결론

    초록

    본 논문은 참여자 A의 연극치료 사례에 대한 논문으로서, 투사 작업을
    통해서 참여자가 만든 이미지가 치료 작업 안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연
    구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연구자는 심리학의 투사 기제와 연극치료의 투사 작업의 차이를 투사적
    이미지의 발현으로 보고, 그것이 치료 작업 안에서 어떻게 생성되고 운용되
    어 치료적 언어로 기능하는가를 서술해 보고자 하였다.
    지적 장애를 가진 15세 소년 A는 그림을 활용하여 투사 작업을 진행하
    였다. 이 시각적인 이미지는 몸으로 체험하기에 적절한 중간단계를 구체적
    으로 A에게 제공하였다. A가 만든 투사적 이미지는 즉흥극 속에서 역할로
    활용되어 그 행동의 의미를 찾게 하였다. 또한 교정이 필요할 때는 보조 치
    료사들과 함께 그림을 그리게 함으로써 새로운 이미지를 거부감 없이 만들
    어내었고, 이를 역할로 변모시켜 즉흥극 속에서 연습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방어기제로서 작용하는 투사가 연극치료의 작업
    안에서 내적, 외적 대상을 이미지화 시켜 역할로 기능하게 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를 통해 예술심리치료 안에서 무의식이 어떠한 방식으로 의식화
    되어 치료적 언어로 기능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존재한다. 향후 더 나은 연극치료 작업안에서의 이미지 연구를 위해
    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미술 장르뿐만이 아닌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의 투사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치료적 언어로서의 이미지가 보편적 상징으로 기능하기 위해 좀
    더 넓은 범주의 대상자들로부터 투사적 이미지의 의미를 추출할 필요가 있
    다.

    영어초록

    This is a study on dramatherapy cases with client A. It is focused on how
    images - participants created or made through projective work - function in
    dramatherapy work. Psychology and dramatherapy treat the projection
    differently. I assumed that the difference results from a conceptual gap in
    those two areas. Based on this assumption, I examined the creation and the
    function of the images as therapeutic language. It turns out that the
    projective images clients created, symbolize and represent the person's
    mental state in the dramatherapy.
    The client A who was a 15-year-old boy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used
    drawings. With his own tools, the projective works were processed. These
    projective images functioned as the way of understanding dramatherapy
    work. Client A used drawings to represent his projective images. I converted
    the drawings into more concrete format and provided it back to the client so
    that he could experience them physically. Specifically I made a role using the
    drawing images in an improvised play, and he could find the meaning of the
    character's behaviors by acting the role. When he needed correction, I made
    him draw more pictures with other therapists. They helped him to figure out
    other new images more comfortably. After that, I converted the images into
    a materialized character again and let the client have that role in a play,
    resulting in gradual behavioral chang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respect that it shows a projective work
    that usually functions as a defense mechanism can also be a useful tool in
    dramatherapy, which can give shape to the client's internal or external
    conditions. Also, this study reveals how things in one's subconsciousness can
    come to the person's senses which can work as a therapeutic language. Here I
    want to add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on the roles of images in
    dramatherapy.
    First, we still need to study on projective images in more art fields besides
    find arts. Second, we need to collect more projective images and search their
    meanings from various kinds of people to make sure that images could be
    more universal tools as therapeutical langu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극예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