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무신집권기 호위제도의 경호학적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03
26P 미리보기
고려 무신집권기 호위제도의 경호학적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호경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경호경비학회지 / 34호
    · 저자명 : 이성진, 조성진

    목차

    Ⅰ. 서 론
    Ⅱ. 무신집권기의 호위제도의 변천
    Ⅲ. 연구 문제의 분석과 논의
    Ⅳ. 결 론

    초록

    고려전기의 궁중호위는 2군6위의 중앙 정규군으로 편성되어 궁궐안의 호위는 내순검군
    이 담당하였으나, 무신집권기에 이르러 군제는 문란해지고 왕실 호위는 무신들에게 의지하
    게 되었다. 무신들은 왕의 지척에 있는 중방을 중심으로 문신들을 억압하고 왕권을 무력화
    시킨 후 국정을 좌지우지하였다. 무신의 3거두였던 정중부, 이의민, 이고 등의 집권이 단명
    으로 끝나고 경대승이 집권자의 지위에 올랐을 때, 그는 자신의 신변안전을 위하여 백 수십
    인의 결사대를 문하에 두었는데, 이 조직이 도방(都房)이었다. 경대승이 병사함에 따라
    도방이 폐지되고, 최충헌 집권시대에 신변보호와 집권체제 강화를 위해 경대승의 도방을
    부활시켜 보완한 6번(番)도방은 규모가 방대하고 더욱더 체계를 잘 갖추었다.
    최충헌의 아들 최우의 집권기에 6번 도방은 내외도방(內外都房)으로 확장, 강화되었으
    며, 손자 최항의 집권기에는 한층 더 발전하여 도방 36번제도가 확립되었다. 초기의 도방은
    무신 중심으로 도방 주인의 신변안전을 목표로 하였지만 후기에는 문신이 참여함으로써
    정보 수집과 선발 경호의 활동을 하였고, 내도방에 해당되는 가병은 사후 위험 방지 역할까
    지 함으로써 개인의 호위에 만전을 기함은 물론 가문을 지키고 나아가 사회질서와 왕실과
    조정을 장악하고 외적의 침략에 대비하는 포괄적인 임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최 씨 정권은 사적 친위조직으로서 도방 이외에 마별초(馬別抄)를 창설하였는데, 이는
    도방과 함께 기병과 보병(步兵)의 양쪽 날개를 이루었다. 삼별초는 고종 때 최우가 조직한
    야별초가 좌별초, 우별초로 나누어지고, 여기에 신의군이 합해져 만들어진 것이다. 삼별초
    가 조직된 이후에는 별초군이 군사와 경찰, 형옥에 이르기까지 그 기능을 발휘하였다.
    무신집권기의 호위 조직이었던 도방과 별초군은 엄밀한 의미에서 사설경호기구로 출발
    하였으나 차츰 왕실 호위 기구를 무력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여 왕실이 도방의 보호를
    받는 경지에 이르렀다. 사설경호경비에 해당되는 현대의 민간경호경비는 영리성을 목적으
    로 하는 것이 특성이지만 공적경호경비와 마찬가지로 범죄예방활동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무신 집권시기의 가병이나 도방 구성원들의 역할과 공통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무신집권
    기의 경호조직은 처음에 개인의 신변 호위를 담당한 도방으로 출발하여 무신들의 참여와
    확장으로 공공성을 띠어가게 되었고, 삼별초(三別抄)의 활약에 이르러서는 왕실 호위기구
    가 담당했던 역할에 근접하는 국가 사회 치안구조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In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Dynasty, the royal guard was comprised of
    the central regular army in the 2-gun-6-wi system, and Nasungeomgun was
    in charge of the security inside the palace. However, the military system
    became disorganized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rule and the royal guard
    had to rely on military subjects. The military officials suppressed the civil
    ministers centering on Jungbang, the guarding organization close to the King
    to incapacitate the royal authority and control the state affairs. When the rule
    of the three leaders of the military rule became short-lived and Dae-seung
    Gyeong is raised to the ruler, he organized a do-or-die squad comprised of
    a hundred and more people for his personal safety, and this became the first
    dobang. Dobang was disassembled after Dae-seung Gyeong died of disease,
    but under the rule of Chung-heon Choe, Dae-seung Gyeong's dobang was
    revived and reinforced into 'Yukbeon Dobang' to provide the ruler with personal
    protection and intensify the ruling system, and it was quite a large organization
    with more refined system.
    Yukbeon Dobang was expanded and reinforced into Naeoedobang under the
    rule of Woo Choe, the son of Chung-heon Choe, and it was enhanced even
    more into Dobang Samsipyukbeon System under the rule of the grandson, Hang
    Choe. Dobang can be considered as the guard organization in modern sense,
    and it collected information and surveyed the area where guarding is required
    and house troops that belonged to Naedobang eliminated the risks that may
    follow afterwards to make assurance doubly sure for guarding.
    The Choe's regime established Mabyeolcho as a private guard organization
    in addition to dobang, and this formed the cavalry and infantry units with
    dobang. Yabyeolcho organized by Woo Choe in the reign of King Gojong was
    divided into Joabyeolcho and Ubyeolcho, and later Sineuigun was integrated
    with them to form Sambyeolcho. Originally, Yabyeolcho was established under
    the rule of Woo Choe to prevent crime in the evening, but after Sineuigun
    was organized with the ones who were captured by Mongolian army but
    escaped, in other words when Sambyeolcho was organized, the organization
    displayed much broader influence by covering military and police affairs as
    well as punishment and imprisonment.
    The guarding organization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Rule in the Goryeo
    Dynasty did not have strict distinction between official guard and personal
    guard. The private guard in modern days which is the equivalent of personal
    guard is characterized by its commerciality, however, house troops and the
    members of dobang did not seem to pursued profit. The guard organization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rule started from dobang which was organized
    for personal safety but gradually developed publicnes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civil ministers and expansion, and later it played the pivotal
    role for social security serving official purpose up to the level where the
    distinction between official and private activities was blurred during the period
    of Sambyeolcho.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경호경비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