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학지희(笑謔之戱)/배우희(俳優戱) 연구의 쟁점과 전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2.12
49P 미리보기
소학지희(笑謔之戱)/배우희(俳優戱) 연구의 쟁점과 전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5호
    · 저자명 : 사진실

    목차

    1. 머리말
    2. 용어와 범주
    3. 양식적 특성
    4. 연희사적 전개
    5. 통합적 전망
    6. 맺음말

    초록

    본 논의에서는 한국연희사의 주요 연구 대상이며 영화를 통해 세간에 널리 알려진 궁중
    광대놀음, 즉 배우희(俳優戱)의 연구사를 고찰하여 쟁점을 밝히고 전망을 제시하였다. 자료
    의 발굴과 해석, 추론이 어떻게 진행되었고 선행 연구에 대한 수용과 극복이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통시적 흐름을 살펴보았다.
    용어와 범주, 양식적 특성, 연희사적 전개 등을 연구사의 쟁점으로 설정하여 논문이나 저
    서의 발표순으로 연구 성과를 검토하였고 마지막 장에서는 쟁점을 넘어 소통할 수 있는 통
    합적인 전망을 제시하였다. 배우희의 연희사적 전개에 대한 전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문 예능인으로서 배우라는 직업군은 수천 년 동안 유지되었고 그들은 골계의 예능을
    중심으로 노래와 춤, 악기 연주에도 능숙하였다. ‘배우들의 골계를 중심으로 하는 과백희’인
    보편적인 개념의 배우희는 수천 년 전부터 형성되어 동아시아 보편의 공연문화로 전승되었
    다. 중국에서 완성된 배우희 양식과 작품이 유입되거나 전파된 것이 아니라 문화사의 발전
    단계에 맞게 공연문화의 관습을 공유했다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보편성은 한문의 사용
    과 그것을 통한 기록 문화의 전승에 있는 것이다. 언어를 통한 골계의 표현 형식은 독자적인 자국문화의 특성으로 규정된다.
    한국에서는 보편적인 배우희의 전통을 전승하되 조선 전기에는 왕실 문화의 수요와 후
    원에 힘입어 중세 궁정극을 성립시켜 150년 이상 동일한 양식적 특성을 유지하였다. 중세
    궁정극은 중국 송나라의 잡극, 일본 중세의 노오와 교겐에 대응하며 각각 산대도감극, 경
    극, 가부끼 등 연극 양식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선행 양식은 후발 양식의
    형성에 영향을 준 것일 뿐 자체적인 발전과 쇠퇴의 과정이 전개되었다고 하겠다.
    궁정 관객의 수요가 사라지고 후원이 끊기자 중세 궁정극은 사라졌지만 양식적 토대가
    되었던 배우희의 전통은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그 결과 18~19세기 재담 공연의 양상에서
    보이듯 민간의 흥행물로 유지되다가 20세기 초 근대적인 극장무대의 주요 공연종목으로 성
    장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oints of issues of the history of studies regarding
    the jester’s play(俳優戱) and proposes a prospective solution. Jester’s play has
    been a central topic of research in the history of Korean performing arts and
    was widely publicized by movies.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how the
    discovery,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records were done, and how
    preceding studies were embraced or overcome.
    Terms and category, form and stlye, and development through the history
    of performing arts have been chosen as the points of issues, while research
    results have been reviewed in chronological order of presentation. In the last
    section, a comprehensive outlook that resolve the issues was proposed. A
    summary of an outlook of solution on the jester’s play’s development in the
    history of performing arts is as follows.
    Actors, as professional entertainers, have been in existence for millennia and
    they were proficient in singing, dancing, and musical instruments, centered
    around ‘jocularity(滑稽)’. Jester’s play as a general definition of ‘Entertainment
    centered around the actor’s jocularity’ has been handed down as a widespread
    form of performance culture in East Asia, since its formation millennia ago. This is a shared tradition of performance culture in stride with cultural
    development, rather than an inflow of a completed form and works from
    China. Medieval commonality between East Asian cultures lies in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handing down records via a common writing
    system. The forms like jester's play expressed through the spoken language
    is categorized as an oral tradition at the basis of independent characteristic
    of a country’s own culture.
    Korea has kept the general tradition of jester’s play, but in the Chosun era,
    the demand and support from palace culture established medieval court
    theatre, which has been maintained the same form and style over 150 years.
    Although medieval court theatre has disappeared after the royal audiences
    disappeared and their support was discontinued, the tradition of jester’s play
    that formed the basis of court theatre has carried on. As a result, as it can
    be observed in 18th~19th century drollery performances at the streets and
    market places, jester's play took up as a civilian entertainment, developing
    into a main repertoire of performances on the modern theatre stage in the
    early 20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