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초등 체육수업에서의 뉴스포츠를 활용한 스포츠교육 모형에 대한 실행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0.08
23P 미리보기
초등 체육수업에서의 뉴스포츠를 활용한 스포츠교육 모형에 대한 실행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14권 / 3호
    · 저자명 : 이상조, 이종목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종합 논의
    V.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뉴스포츠를 활용한 스포츠교육 모형에 뉴스포츠를 적용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그 속에서 학생들의 심동적․인지적․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광역시의 초등학교 6학년 1개 반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09년 9월부터 10월
    까지 스포츠교육 모형 수업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다.
    학습 자료의 기록은 PMI를 활용한 팀 협의록과 자기 평가지, 경기기록지 등으로 교육적 경험을
    정리하고 반성하도록 하였다. 경기 일정과 팀의 조직은 종목을 고려하여 학생과 협의하여 진행하
    였고, 역할 분담과 자신의 역할에 따라 팀별로 진행하였다. 기능연습 후 연습 게임을 통해 전략과
    작전을 짰으며, 리그전으로 경기가 이루어졌다. 결승전은 모두가 함께 할 수 있는 축제의 형식으
    로 열렸고, 다양한 영역의 시상으로 과정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졌다.
    심동적 영역에서는 지속적인 역할 수행을 통해 경기 관련 기능이 많이 향상되었고, 동료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성취동기가 높아졌으며, 이는 기능 향상으로 이어졌다. 인지적 영역에서는 역할지
    식이 쌓여갔고, 팀의 운영 측면과 실제 경기에서도 질적인 부분의 향상이 있었다. 종목에 대한 이
    해는 실제 게임을 통해 습득이 이루어졌으며, 경기를 관람하는 안목이 늘어나 생활 속의 스포츠인
    으로 거듭났다. 정의적 영역에서는 체육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고,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
    졌으며, 체육 수업을 통해 게임에 대한 즐거움과 활동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참여와 진행과정에서 학생들의 자발성이 높아졌고, 협동심이 길러졌으며, 책임 있는 행동을
    보이는 학생이 많이 늘어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간의 연구 기간 속에서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할
    필요성이 있고, 비교집단과의 비교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스포츠교육 모형의 적용 및 효과 규명에
    더욱 객관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ffective, psychomotor and cognitive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applying the Sports Education Model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the new sports “tee-ball”. The Sport Education Model strategy was implemented in a sixth
    grade class in an elementary school of the D-metropolitan city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9.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alitative methods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
    non-participant observation, and descriptive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related
    literatu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the
    data reliability was verified through member-checking, peer debriefing and triangulation.
    To apply the Sports Education Model, the new sports "tee-ball" was selected as the sport to
    be used. In a class discussion, a whole game season was planned. Teams were formed to
    address student participation. Students planned their game strategies through drill techniques
    and practice games, and the games resembled an actual league tournament. The final game was
    played as part of a special festival in which everyone could participate.
    Psychomotor changes observed included enhanced game performance, resulting from the
    students developing an eye for the flow of the game and continuously carrying out their role
    within the team.. Peer evaluations increased students' motivation for achievement, which also
    led to improvements in game performance.
    In the cognitive domain, each student became more knowledgeable about their team role
    which enhanced both team management and game quality. Students showed an improved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game and its rules, and developed an eye for the game.
    In terms of the affective changes in the students, there were increases in the preference for
    the class, and in levels of enthusiasm, enjoyment, satisfaction, and spontaneity during classroom
    participation and progress. Students worked harder, showed greater cooperation and a greater
    number of students acted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With the application of the Sports Education Model, the benefits of sports were maximized
    through students carrying out various team roles. There was potential for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to become a classroom method that can encourage full student participation.
    The above results can be expected to become a foundation on which stable manage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applications of the Sports Education Model in elementary
    schools may be buil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