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재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6.01
22P 미리보기
영재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재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재교육연구 / 16권 / 1호
    · 저자명 : 김인혜, 박정옥, 최문경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1990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국내 주요일간지에 게재된 영재교육
    관련 기사의 양과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시대에 따른 영재교육의 사회적 인식과 경향을 살
    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의 기간은 3기로 나누었고, 관련기사의 내용은 영재교육의 동
    향, 영재교육 정책 , 영재교육 정보, 사회 환경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재교육 관련 기사의 양은 시기별로 꾸준히 증가하였고, 특히 2000년 영재교
    육진흥법 제정이후에 큰 폭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영재교육이 정착화 됨에 따라
    영재교육 관련기사도 점차 영재교육 전반에 걸쳐 큰 폭으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영재교육 관련 기사의 내용에 있어서는 1기에는 체제와 제도에 관련된 기사가, 2기
    와 3기에는 영재교육기관에 관한 기사가 많았다. 이는 1기에는 영재교육에 대한 여러 논의
    를 통해 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착되었고, 2기와 3기에 영재교육에 대한 제도화
    가 이루어지면서 영재교육 기관에 대한 관심이 커졌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amount of articles on gifted
    education in major daily newspapers dated January 1990 to December 2003, and to review the
    trend of social perception of gifted education with the passage of tim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 :
    1. How many articles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ppeared in the newspapers within the
    period of time covered by the study?
    2. What kinds of articles appeared in the newspapers within the period of time covered by the
    study?
    To arrive at the answers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714 articles on gifted education.
    The period from 1990 to 2003 were divided into time frames of 5 years to facilitate the analysis
    of social consciousness regarding gifted education before an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Early
    School Entering Law in 1995 and the Law for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in 2000. The
    researcher defined Period I as the years from 1990 to 1994, Period II from 1995 to 1999, and
    Period III from 2000 to 2003.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by content which were significance and trend of gifted education,
    current policies on gifted education, information on gifted education, and social environment of
    gift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articles from 1990 to 2003 totalled 714. 130 articles were found within Period I, 213
    within Period II, and 371 within Period III. Since the year 2000, when the Law for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was enforced, the amount of articles considerably increased. The articles on the
    trend of gifted education numbered 42 within Period I, 49 within Period II, and 81 within Period
    III, showing a huge increase in the last period. The articles on current policies numbered 56
    within Period I, 77 within Period II, and 143 within Period III, numbering the most in the last
    period. This means that, even before the Law for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was enforced,
    there has been much interest in and discussion of the appropriate educational system for gifted
    children in preparation for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of such system.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law, many institutions were established and the problem became an
    important social issue.
    The articles that most frequently appeared were about current policies on and status of gifted
    education. This category showed the largest numbers through all the three periods and on all the
    subjects. This subject represented 43.1% of the articles on gifted children within Period I,
    36.2% within Period II, and 38.6% within Period III. As to the significance and trend of gifted
    education, this subject showed a decrease from 32.3% within Period I, 23% within Period II,
    and 21.8% within Period III. However, the articles in the category of information on gifted
    education gradually increased from they represented 5.4% of the articles on brilliant children
    within Period I, 7.5% within Period II, and 8.4% within Period III. The social environment
    articles showed an increase from Period I to Period II-- from 19.2% to 33.3%, but it went down
    to 31.3% within Period III.
    (2) As to articles on the trend of gifted education, there were many such articles found,
    mainly on researches and trends in other countries. As greater importance is accorded to gifted
    children and as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providing specific education for them grows,
    more related studies are conducted and people try to adopt new trends from other countries. For
    the articles on the current policies of gifted education, most of them were about institutions.
    This means that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been established since the Law for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was enforced. Informative articles on gifted education were
    mostly about distinctive features of gifted children and how to tell who the brilliant children are.
    This fact shows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gifted children in order to educate them
    systemically and effectively. It likewise shows that parents wish that their kids were gifted.
    Social environment articles were mostly about events and seminars. As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became institutionalized, the related events and seminars increased and the subjects
    and participants seemed to become vari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