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 노숙자의 삶의 질 예측요인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5.02
25P 미리보기
도시 노숙자의 삶의 질 예측요인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57권 / 1호
    · 저자명 : 윤경아, 노병일

    목차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단축형(WHOQOL-BREF)을 사용하여 우리 사회
    의 대표적 빈곤층인 노숙자들이 자신의 삶의 질을 어떻게 평가하며, 또 이들의 삶의 질에 어떤 요인들
    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20세 이상 된 185명의 노숙자이며, 조사기간은
    2003년 9월 18일부터 27일까지 10일간이었다. 연구결과, 노숙자의 삶의 질이 낮다는 것이 실증적으
    로 확인되었다. 또한 삶의 질 하위영역별로 예측요인이 다소 다르긴 하지만,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공공부조 수급, 인지된 건강상태, 음주, 알코올중독, 거주형태, 타인의 인정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숙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주거최우선정책이 필요
    함을 강조하였고, 알코올중독 문제와 노숙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를 위한 대책방안에 대해서도 논
    의하였다.

    영어초록

    Homeless people have remained one of the most disadvantaged group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how the homeless evaluate their quality of
    life and which factors influence their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5 homeless adults residing on the street, in the shelter, and in substandard hous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ith a view to collecting the data effectively, different
    approaches have been taken for each type of homelessness in this study.
    B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WHOQOL-BREF (brief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measur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urrent circumstance of the homeless and
    identified the predictors of their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nfirm
    low quality of life of homeless people.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ir quality of life are age, receipt of public assistance,
    perceived health status, alcohol use, alcohol addiction, housing type, and recognition
    by others. Predictors of each domain of quality of life differ to some ext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physical health are receipt of public assistanc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ousing type. Psychological health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ge, receipt of public assistance, perceived health status, housing type,
    and recognition by others. Significant predictors of social relations are alcohol use,
    housing type, and recognition by others. Environment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erceived health status, housing type, and recognition by other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empirical analysis, some measures conduciv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homeless people are suggested.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lve in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placed group in Korea. In such a contex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the circumstances of the homeless as a basic work for upgrading their
    quality of life on the one hand, and in empirically testing the major predictors of
    each domain of their quality of life on the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