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 가사노동분담에 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 가설의 검증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5.08
22P 미리보기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 가사노동분담에 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 가설의 검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57권 / 3호
    · 저자명 : 김진욱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동향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 론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경제참여 증가에 따른 무급가사노동의 분담정도를 설명하고 있는 세 가지
    가설을 한국 상황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는 것이다. 이 세 가지 가설이란 기혼여성이 취업할 경우
    남성배우자가 적극적으로 가사노동을 분담한다는 협조적 적응 가설, 남성배우자의 가사노동분담이 이
    루어지지 않아 근로기혼여성은 유급과 무급의 이중적인 노동부담에 처하게 된다는 이중노동부담 가설,
    그리고 어느 한 시점에서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이 나타나는 것은 사실이나 그 정도는 세대간에
    달라질 수 있으며, 장기적인 추세를 관찰하면 맞벌이 남성의 가사노동분담도 역시 증가해 왔다는 적응
    지체가설이다. 이상의 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핵심 독립변수로 성별, 연령, 맞벌이 여부가, 종속변수
    로는 총 노동시간과 무급가사노동시간이 설정되었고, 분석자료는 1999년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원자
    료가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근로기혼여성은 남성배우자에 비하여 하루 평균 100분 이상을 더 일하고
    있었으며, 한국 남성들의 가사노동시간은 23-25분 정도로 여성의 5-10% 수준에 불과하여, 무급가사
    노동의 분담수준이 매우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남성의 무급가사노동시간의 변이를 설명하기 위
    한 독립변수로 설정되었던 맞벌이 여부나 연령의 통계적 유의성은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한국의
    상황에서는 협조적 적응 가설은 물론 세대간의 행위차이를 가정한 적응지체 가설도 채택될 수 없었으
    며, 이중노동부담가설이 근로기혼여성의 현실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
    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취업여성의 이중노동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제도의 확충,
    보살핌노동에 대한 보상체계 등을 제안하였으며, 시간자료를 이용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mpirically testify three hypotheses on the
    relation between married women's employment and the allocation of unpaid
    domestic work within households - i.e., adaptive partnership (AP), dual burden (DB)
    and lagged adaptation (LA) models. The AP hypothesis assumes that, when wives
    are employed, husbands spend more time doing housework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ir wives' increased responsibility. The DB model, by contrast, indicates that,
    even if married women are employed, their burden on domestic work does not
    decrease. In this case, therefore, the dual burden of married women can be expected.
    Between these two opposite views, the third, alternative hypothesis has been
    suggested recently. The LA model argues that the behaviours of households are
    adaptive to the changing environments but over a period of many years and even
    across generations. The article has analysed the total work time as well as unpaid
    domestic work time to testify these three hypotheses, utilising 1999 Time Use Survey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married working women worked 100 minutes more than their male
    spouses. Second, the average domestic work time of married men, 23-25 minutes per
    day, was no more than 5-10% of that of women. Third, the effects of age and
    women's employmen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ltiple regression models,
    which means that the DB hypothesis explains the situa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in Korea.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rticle suggested the expansion of the
    public social service system to mitigate the dual burden of married working women,
    the introduction of compensatory credit for caring work, and the directions of further
    empirical research using the time use survey data.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