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학 글쓰기에 나티나는 초등학생들의 선행 개념 및 오개념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4.01
15P 미리보기
과학 글쓰기에 나티나는 초등학생들의 선행 개념 및 오개념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8권 / 3호
    · 저자명 : 이호진, 최경희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절차및 방법
    Ⅲ. 연구 결과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rtract

    초록

    구성주의 관점에서 학습은 교사가 가르친 그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학생들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선행 개념올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올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학생들의 인지 구조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교사가 학생들이 사용한 선행 개념이 올바른 개념인지, 그리고 새로운 지식 생성 과정에 잘못된 점이 없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과학 교사는 학생들이 선행 개념을 사용하여 학습을 하게 되는 과정을 관찰하여, 선행 개념이나 이를 바탕으로 생성된 새로운 지식의 오개념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초등 학생들의 글쓰기를 통해 드러나는 선행 개념과 오개념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3명의 초등 학생을 대상으로 4개월 동안 관찰 중심의 질적 연구 형태로 수행하였다. 학생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STS 접근이 가능한 글쓰기 주제를 선정하여 120분 동안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학생들과 교사가 글쓰기 주제에 관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거친 후 글쓰기를 수행하였다.
    학생들은 글쓰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선행 개념을 적절히 활용하면서 글쓰기를 수행하였다. <호홉과 순환>을 주제로 한 글쓰기에서 학생은 혈액과 조직 세포 사이의 기체 교환에 관한 선행 개념뿐만 아니라 폐포가 둥근 개념까지 연결지어 글을 구성하였다. 선행 개념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전기>를 주제로 한 글쓰기에서 전자 대신에 분자의 용어를, 원자핵 대신에 원자의 용어를 잘못 사용하고 있음을 피악할 수 있었다. 이처럼 글쓰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개념은 교사가 그것의 생성 배경올 추측할 수 있게 하여 오개념 수정에 방향을 제시하는 좋은 자료가 된다. 따라서 글쓰기는 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이 기능하며 다음 학습으로의 동기 유발이 자연스러운 유용한 도구가될 수있다.

    영어초록

    From the viewpoint of constructivism, learning is not always achieved as educators teach. Learners make up new knowledge on the basis of the prior knowledge they have, the one they obtained from experience before learning. This knowledge creation process isn't exposed externally as it is conducted within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Therefore, an educator has a difficulty in concluding whether the prior knowledge learners have is correct or not, and whether knowledgecreation process includes mistakes or not. That is why science teachers have to observe the process through which students learn by using their prior knowledge and understand whether the conception and new one are correct or not. According to these necessities, we investigated the prior knowledge and misconception exposed to wri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four months and three elementary pupils were tested. The subjects of writing which possibly induce interest for learners and are accessible from STS(Science-Technology-Society) concept, were chosen. The class was carried on for two hours. The educator and learners discussed the writing subjects before writing was conducted.
    The pupils conducted writing while making proper use of their prior knowledge to solve the given topics. In writing a composition on <respirationand circulation>, pupils linked with the topic the conception that alveoli are spherical and used the prior knowledge of the gas
    exchange between blood and cellular tissue, which showed that the prior knowledge are able to be observed much more concretely in writing than in the discussion before writing.
    We picked out the misconception the pupils had from the observation of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y use prior knowledge. As an example, we observed that they took a molecule and an atomic nucleus for anelectron and an atom, respectively in writing on <electricity>. That is, we found out that writing is very useful in a viewpoint that educators are able to infer what causes misconception observed in writing and to correct it. So writing makes courses focus learners'activities and it can also become a useful tool for motiv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