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한국의 빈곤, 왜 감소하지 않는가? : 1990년대 이후 빈곤 추이의 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4.11
22P 미리보기
한국의 빈곤, 왜 감소하지 않는가? : 1990년대 이후 빈곤 추이의 분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56권 / 4호
    · 저자명 : 구인회

    목차

    1. 서 론
    2. 빈곤수준 변화의 결정요인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 론

    초록

    외환위기와 함께 본격적으로 등장한 빈곤문제가 위기의 진정에도 불구하고 위기 이전 수준으로 대폭
    감소되지 않을까? 본 연구는 가구소비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1990년대 이후 빈곤추이 분석을 통해
    이러한 물음에 답한다. 1990년대 전반기는 급속한 빈곤 감소를 특징으로 한다. 이 시기의 빈곤 감소
    에는 경제성장이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소득불평등도의 완화 또한 영향을 미쳤다. 1990년 후
    반에는 빈곤율이 크게 높아졌다. 경제성장의 침체로 소득수준은 감소하거나 정체상태에 머무른 한편,
    소득불평등도가 증대되고 빈곤취약가구가 증가하는 인구학적 변화가 일어나 빈곤 증대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추이에는 주로는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성인의 소득격차 확대가, 부차적으로는 노인가구의 증대
    가 영향을 미쳤다. 절대빈곤의 추이에서는 경제성장의 영향이 주로 부각되고, 상대빈곤의 추이에서는
    분배구조 변화의 역할이 크게 나타난다. 준절대빈곤의 경우 1990년대 전반부에는 경제성장으로 상당
    한 빈곤감소가 발생하고 후반부에는 소득불평등 악화와 경제성장 정체로 빈곤증가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economic crisis in 1997~1998 caused massive unemployment and
    unprecedentedly increased the number of the poor in Korea. As many unemployed
    families fell into poverty, the poverty rate skyrocketed to higher than 10 percent. Not
    later than 2000, unemployment late got back to normal and real average income
    among urban households approached to the income level prior to the economic
    crisis. Although the economic crisis has been passed through, poverty was not
    decreased to the low level prior to the crisis by 2000. Why does it remain high?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n answer to this question by analysing the poverty trend
    over the 1990s. Data come from the National Survey of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s 1991, 1996, and 20001.
    Results show that poverty was rapidly reduced in the first half period of the
    1990s. This reduction in poverty is largely explained by steady and rapid economic
    growth. Modest improvement in income inequality also contributed. In contrast, the
    poverty rate considerably increas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Average income
    was not fully recovered to its prior level, which reflected the economic crisis and the
    subsequent economic stagnation. Worsened income inequality led to higher poverty
    rate too. In addition, demographic changes increased the share of economically
    vulnerable types of families, such as families headed by single parents and the
    elderly.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explaining the higher poverty rate was
    extended income differential among non-elderly adults, while the next was the
    increased number of the elderly families.
    Yet, findings a little differ depending on which concepts of poverty to adopt. In
    the analyses based on the concept of absolute poverty, economic growth the most
    significantly affected the poverty trends in the 1999s. Changes in income inequality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trend in relative poverty. Adopting
    the concepts of quasi-absolute poverty, which is preferred in this study, results show
    that rapid economic growth significantly reduced poverty in the first half of the
    1990s and both worsened income inequality and stagnated economic growth
    increased poverty in the latter 1990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