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정신장애인 직업재활모델과 직업평가 : 직업기능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3.08
25P 미리보기
정신장애인 직업재활모델과 직업평가 : 직업기능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54호
    · 저자명 : 이성규, 김상희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초록

    정신장애의 핵심적 특성이 다름 아닌 직업적 장애라는 것은 널리 지적되어온 사실이다. 2000년 정
    신장애가 장애범주에 포함된 이래, 정신장애인의 직업적 장애에 대한 개입, 즉, 직업재활이 바야흐로
    활성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직업재활로부터 가장 이득을 얻을 대상군을 선발하고(선별),
    효과적인 직업적 개입을 계획할 수 있도록 직업적 문제점을 알려주며(진단 및 개입계획), 개입을 통해
    얻어진 직업기능의 향상을 측정해 줄 수 있는(성과평가) 직업평가도구가 시급히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선진국에서조차 현재 정신장애인의 직업평가는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모두 수렴하여 유용한 정신장애인 직업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첫째,
    직업평가가 직업재활모델에서 출발할 필요가 있다. 이는 직업평가가 직업재활모델과 밀접하고도 필연
    적인 관련성을 가진다는 데서 도출된다. 즉, 직업평가는 어떤 직업재활모델을 기반으로 하느냐에 따라
    평가의 기능과 시점, 그리고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둘째, 정신장애인 직업평가의 출발점으로서의
    직업재활모델은 가속모델1)이어야 한다. 전통적으로 직업평가에 배경이 되어온 직업재활모델, 즉, ‘준
    비모델 혹은 점진모델’은 신체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정신장애인에게는 맞지 않다. 셋째, 가속
    모델이 요구하는 직업평가도구의 특성들을 도출하고 이러한 특성들을 수렴하고 있는 척도 개발이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가) 직업평가의 일반적 기능들을 살펴보고, 나) 직업재
    활모델이 이러한 직업평가의 기능과 어떠한 관계성이 있는지 논의하였다. 그리고 다) 가속모델이 특히
    정신장애인의 특성에 적절한 이유들을 논의하였고, 라) 이 모델을 기반으로 직업평가도구 제작의 원칙
    들을 도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마) 이 원칙들에 의거하여 한 연구에서 사용된 직업기능척도를 비판
    적으로 사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업재활모델 기반의 직업기능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예비적 분석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It is well known that one of essential features of psychiatric disability is
    vocational impairment. Since the year of 2000 when psychiatric disability was
    declared as one of disability categories in Korea,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have been actively administered. At this point, it is compelling that vocational
    evaluation serves as a means of screening out the most promising candidates,
    identifying their vocational deficits and strengths, designing the individualized
    vocational interventions, and evaluating vocational outcomes.
    Still, vocational evaluation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has been more
    problematic than for any other group with disabilities. The authors argued that
    vocational evaluation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hould be based on a
    certain vocational rehabilitation model to address those problems. It is because there
    exists an indispensible relationship betwee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model and
    vocational evaluation. In other words, the main purposes, measurement time points,
    and focus of vocational evaluation may depend on which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models to make a choice of. In addition, the vocational rehab model(i.e., vocational
    readiness model or graduation model) underlying traditional vocational evaluation
    does not seem to work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uthors argued that
    accelerating model fits for psychiathric characteristics which are often unpredictable
    and turbulent. As a preliminary step of developing vocational functioning instrument
    incorporating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the accelerating model, post-hoc analyses
    were done on data from a vocational functioning measure and the results were
    critically examined from viewpoints of accelerating model.
    For these purposes, discussions were made about a) general functioning of
    vocational evaluation, (b) relation between vocational rehabilitation model and
    vocational evaluation, (c) the reasons why the accelerating model is more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clients than the graduation model, (d) post-hoc
    analytic results reviewed from viewpoints of accelerating model-based vocational
    evalu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model-based, model-specific
    vocational evaluation as a preliminary step for developing vocational functioning
    assessment instruments in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