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시기 외사고의 변천과 오대산사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4.12
26P 미리보기
조선 시기 외사고의 변천과 오대산사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7권
    · 저자명 : 김성희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 전기 외사고 제도의 연원과 성립
    1. 외사고 제도의 연원
    2. 조선의 건국과 외사고의 이설
    3. 외사고의 증설과 제도의 확립
    Ⅲ. 조선 후기 외사고 제도의 변천과 오대산사고의 설치
    1. 임진왜란으로 인한 실록의 소실과 복원
    2. 외사고의 復建과 오대산사고의 설치
    3. 외사고의 관리와 수호사찰의 역할
    Ⅳ. 맺음말

    초록

    본 논문은 조선 시기 국가 주요 전적의 보존을 위해 운용되었던 外史
    庫 제도의 성립 및 특징을 파악하는 데 서술의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
    히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적지 않은 변동이 발생하였던 외사고 입지 선정
    원칙과 관련 제도의 운용 양상에 대한 면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고찰의 과정을 통해 고려 시기로부터 비롯된 외사고 제도가 조
    선에까지 강한 영향을 끼쳤으나, 조선의 건국을 전후하여 발생한 국내외
    정세의 변화로 인해 조선 시기 외사고 제도의 운용에 있어서는 이전 시기
    와 구별되는 특징적 면모가 존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고려 시기 외사고가
    주로 산간의 오지에 위치한 사찰에 설치되었던 반면, 조선 전기의 외사고
    는 주로 교통이 편리한 요충지에 설치되었으며, 사고 운영과 관리의 주안
    점 역시 외적의 침입에 대한 방비보다는 화재 및 누수로 인한 피해의 방지
    에 두어졌던 것은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임진왜란의 와중에 전주사고를 제외한 모든 사고가 소실되는
    참화를 겪은 후 조선의 외사고 설치와 운영 방식에도 급격한 변화가 발생
    하였다. 전후 외사고 복설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었던 원칙은 바로
    중요 국가 전적을 외적의 접근이 어려운 산간 및 도서 지방의 오지에 안치
    한다는 것이었다. 이전 시기까지 교통이 편리한 도회지에 외사고를 설치하
    였던 원칙을 폐기하고, ‘絶島의 산중’, ‘絶險하여 인적이 닿지 않는 곳’과
    같은 오지에 외사고를 설치할 만큼 입지 선정 원칙에 있어 대대적인 변화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아울러 전후 외사고 관리와 수호에 있어 불교계가 큰 역할을 담당하였
    다는 점 또한 조선 후기 외사고 운용 방식의 두드러진 변화상으로 꼽을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외사고 인근의 사찰에서 동원한 수직 승도와 승병
    등이 외사고의 관리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각 외사
    고마다 이를 수호하는 사찰이 지정되어 사고 수호의 임무를 담당하기도
    하였다. 억불숭유의 사회 기조로 인해 실록의 보관에 승인들이 참여하는
    것을 꺼리는 분위기가 이 시기에도 여전히 상존하였지만, 임진왜란 시의
    활약을 통해 사회적인 위상과 역량을 증진시킨 불교계는 조선 후기 외사고
    의 관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government established four separate
    repositories, in Chunchugwan (春秋館), Chungju County (忠州), Jeonju
    County (全州), and Seongju County (星州), to store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and other important literatures of the
    state. The locations of those repositories were selected with a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easy access and efficient management.
    However,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1592-98), all
    repositories but the one in Jeonju were destroyed and the stored
    documents were burned down as well. The reason of this catastrophic
    damage was the vulnerable locations of those repositories. They were
    built in important traffic centers of the country so that invaders could
    easily find and destroy them. After gaining this painful lesson, the
    Joseon government determened to establish the priority in safe custody
    of the Annals and other important books.
    When five more copies of the Annals were restored after several
    years of hard work, new repositories were needed. Beside the
    re-established repository of Chunchugwan, the other new repositories
    were built in the backwoods; Myohyang-san (妙香山) (later moved to
    Jeoksang-san (赤裳山) in 1633), Taebaeksan (太白山), Odaesan (五臺山), and Mani-san (摩尼山) (later moved to Jeongjok-san (鼎足山) in
    1678).
    Since the mountain repositories were located in almost inaccessbile
    mountain ranges, it required a great deal of effort to approach them.
    Even though it caused inconvenience in respect of the management of
    the repositories, the Annals and other important literatures were kept
    safely, and most of them are still existing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