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자아 변화와 그 교육적 함의 - 시장과 인터넷의 영향을 중심으로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2.01
22P 미리보기
청소년자아 변화와 그 교육적 함의 - 시장과 인터넷의 영향을 중심으로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12권 / 1호
    · 저자명 : 박부권

    목차

    Ⅰ. 서론
    Ⅱ. 청소년 자아변화의 사회적 배경
    Ⅲ. 오프라인의 청소년: 상품자아
    Ⅳ. 온라인에서의 청소년: 인터넷 자아
    Ⅴ. 새로운 자아를 위한 교육적 대안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글은 지금까지 시도된 교육개혁이 만족스러운 성과를 거둘 수 없었던 것은, 그것이 국가,
    교사, 학교의 역할에만 관심을 집중한 나머지 교육의 또 다른 주체인 학생들의 의식과 자아변화를
    포착하여 이를 교육개혁의 의제 속에 포함시키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따라서 이 글은
    자본주의 시장과 인터넷의 영향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자아변화를 분석한다.
    오늘날의 청소년들은 시장의 포위망 속에 포위되어, 소비양식이 곧 존재양식이라고 믿고, 스스
    로를 상품화하며, 내적 능력보다는 외적 매력과 감각적 이미지에 집착한다. 그러나 학교는 청소년
    들의 이러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채 과거처럼 규율과 통제로만 일관하고 있다. 또한 많
    은 청소년들은 사이버 공간에서 만나고, 일하고, 놀고, 그리고 즐긴다. 이들 중 상당수는 24시간
    접속 중에 있다. 인터넷 자아의 특성은 접속성이다. 사이버 공간은 광장의 규칙을 따르는 오프라
    인과는 달리 청소년들이 해방감을 맛보고 접속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유의 공간이지만 그 대
    가로 지불해야 할 상실과 희생도 적지 않다. 그것은 인간의 원초적 감각기능을 무력화시키고 감각
    적 확신, 기술과 능력에서 나오는 자아감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자기 존중감을 약화시킨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이 글은 학교가 청소년들의 상품자아와 인터넷 자아에 대응하기 위
    해서는 스스로 울타리를 허물고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청소년들의 일상생활 속으로 과감하게
    들어갈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자유와 해방을 통한 내적 충일감과 자기 존중감을 길러주고 원초적
    감각이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 구성에 세심한 배려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영어초록

    During the last two decades, various educational reform agenda have been presented and discussed
    by the Korean government, its affiliated institutes such as KEDI, or NGO. Some of the agenda have
    been institutionalized and implemented in effect. However, many parents, teachers, and journalists
    argued that the Korean educational realities have never improved and even got worse. From this
    point of view, they think that the anomie observed in lots of schools is the presages of the
    “collapsing” class. This paper argues that their criticism is not valid. On the contrary, it insists that
    “collapsing” class stems from the school's inability to adjust to adolescents' new selves due to rapid
    social changes. It also argues that both the reform agenda and the critics miss the positive seeds for
    a new paradigm which the adolescents' disordered and uncontrolled behaviors, called “collapsing,”
    implied. In this context, the paper analysed the influence of the market and the internet on
    adolescent's self,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Today the adolescents love to create their own unique styles with selecting clothes, shoes,
    accessories and ornaments on the market. The Korean youth culture, like that in the Great Britain
    and the U.S.A., has generated a sort of renegade styles in terms of verbal expression, way of dress,
    hair style, and music style. The Korean adolescents enjoy to wear hip-pop pants and K-Martin
    combat boots. The meaning originated in the blacks and punks was already lost. The style market
    found profit in this renegade culture. It speaks to not the mind's eye but the eye's mind through
    various strategies and tactics such as advertising, packaging, design and managed corporate image.
    There are only passive consumers and then matters of quality or substance are totally overshadowed.
    The schools, however, have failed to adapt themselves to the adolescents' commodity selves.
    The paper found that almost all the adolescents enjoy to play games, chat with their friends, or
    serf information on the internet or in a pc-room for more than two hours a day. They send
    messages through an e-mail or a PCS phone. The PCS phone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connect
    their friends whenever and wherever they want to. They send character messages in class, on the
    street, on the subway, or in bedroom even at mid-night. Some of them are being connected for
    twenty four hours a day. They feel free and joy, satisfy desire for connection on the PCS phones or
    the internet where Foucault's panopticism does not work. The internet or virtual self may keep haptic
    senses from being developed within ourselves and make self-esteem be weakened.
    The paper concluded that the schools should try to adapt themselves to commodity self and
    networked self. It also suggested that more liberal school climates and balanced sensual haptic
    experiences wer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회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