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Giroux의 가능성 교육과 그 한계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0.01
20P 미리보기
Giroux의 가능성 교육과 그 한계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20권 / 4호
    · 저자명 : 안찬성

    목차

    Ⅰ. 서론
    Ⅱ. Giroux의 가능성 교육
    Ⅲ. Giroux의 논의 내용에 대한 한계점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Giroux는 오늘날 주도적인 비판적 교육학자들 중 하나이며 그의 연구는 특정 문제에 대한
    냉철한 비판과 합리적인 대안 모색을 통하여 교육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 절망이 아니라
    희망과 용기를 제공하는 데 기여를 하고 있기 때문에 Giroux를 선택하여 본 글을 전개하게 되
    었다. 이에 따라 Giroux에게서 교육은 비판과 희망이라는 신념을 출발점으로 하여 학교교육에
    대한 그의 위기의식이 어디에서 초래되었고 어떤 희망으로 귀착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교교육이 시장적인 가치에 의하여 민주적인 속성을 상실하고 있다는 위기의식에도 불구하고
    민주적인 시민성을 소생시킬 잠재적인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희망을 ‘가능성의 교육’에서 확
    인할 수 있었다.
    가능성의 교육은 학교교육을 통하여 민주주의가 존속할 수 있고 작용할 수 있다는 낙관적
    인 태도와 함께 민주적인 시민성을 지향하는 교육수행을 위한 구체적인 권고이다. 이 연구에
    서는 Giroux의 가능성 교육을 교육된 희망의 정치, 민주적인 시민성 교육, 그리고 경계교육으
    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교육된 희망의 정치는 학습의 맥락적 본질을 강조하는 방식으
    로 교육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을 결합하는 것이다. 둘째, 민주적인 시민성 교육의 핵심은 교사
    와 학생이 서로 다른 사회적 가능성과 삶의 방식을 제기하는 형태로 행동하고 생각하는 것을
    학습하는 것이다. 셋째, 경계교육은 차이와 저항을 표출하고 있는 교육실천의 한 형태이며, 교
    육된 희망의 정치와 민주적인 시민성 교육이 표명하고 있는 참여성을 좀더 적극적으로 표출시
    키고 있다.
    가능성의 교육에 대한 Giroux의 희망적 논의가 학교교육에 대해 중요한 통찰과 비전을 제공
    하고 있을지라도 그의 논의가 지니고 있는 약점을 간과할 수는 없다. Giroux는 가능성의 교육
    에서 현실과 동떨어지고 지나치게 당위적이고 낭만적인 교사관을 취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교육자의 역할이 실천지향적인 것으로가 아니라 추상적인 것으로 허공을 맴돌고 있는 듯한 인
    상을 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가능성의 교육을 부정하거나 총체적으로 과소
    평가해도 좋다는 의미가 아니다. Giroux의 희망과 비전은 학교교육에 대한 시장적 가치의 영향
    이나 유입이 어쩔 수 없는 필연적 대세인 것으로 여겨지는 시류에서 주목할 만한 시사점을 제
    공하고 있기에 여전히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영어초록

    Giroux is one of the leading educators associated with the Critical Theory tradition in education.
    Giroux was chosen a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since he offers penetrating insights and objective
    criticisms of problems in education, and then searches for their reasonable alternatives in order to
    provide hope and strength to all those in the education field. Starting with Giroux's belief that
    education is both criticism and hope, I investigated where today's sense of crisis in schooling resulted
    from and what kind of hopeful conclusion it can lead to. As a result, in spite of a sense of crisis
    that schooling has lost its democratic characteristics due to market values, I confirmed within the
    pedagogy of possibility the hope that schooling has the potential to revive democratic citizenship.
    The pedagogy of possibility is optimistic in that it believes democracy can exist and operate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offers concrete advice for educational practices aiming at the nurturing
    of democratic citizenship. In this study, I classified Giroux's pedagogy of possibility into the politics
    of educated hop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border pedagogy, and investigated them. First,
    the politics of educated hope is a way of emphasizing the contextual substance of learning, and
    connects educational and political matters. Second, the core of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to learn to act and think from different perspectives by having the teachers and students raise
    different social possibilities and ways of living. Third, border pedagogy expresses ‘difference and
    resistance’, and more positively emphasizes participation.
    But it is true that Giroux's arguments on the pedagogy of possibility have several weaknesses. His
    pedagogy of possibility overemphasizes the issue of right and wrong in education, and is unrealistic,
    resulting in romantic educator types. Even so, Giroux's hope and vision on schooling are still
    providing remarkable implications in an age where the influence of market values on education is
    being considered as a necessary tren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회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