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사회의 학벌주의와 계급갈등: 학벌자본의 이론화를 향해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7.01
23P 미리보기
한국사회의 학벌주의와 계급갈등: 학벌자본의 이론화를 향해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17권 / 4호
    · 저자명 : 이건만

    목차

    Ⅰ. 서론
    Ⅱ. 학벌주의 형성의 역사적 배경
    Ⅲ. 학벌주의의 심화요인과 쟁점
    Ⅳ. 학벌의 자본적 성격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우리사회에서 학벌은 대학의 서열화, 교육의 수단화, 교육의 시험지상주의, 왜곡된 교육열 등의 교육병리 현상을 유발시킨 핵심요인으로 비판 받아 왔다. 이글은 이러한 비판을 학술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쓰였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벌주의 형성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그 심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학벌주의의 쟁점을 논의하였고, 이와 아울러 학벌이 지닌 자본적 성격을 밝혔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기술과 분석 내용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학벌주의는 교육내적인 문제로 인해 생겨난 현상이 아니라 사회의 지위 집단간의 지위획득 경쟁의 산물이다. 둘째, 학벌은 연고주의를 통하여 지배력을 유지시켜 왔으며 능력주의 고정관념을 정당화 시키면서 불평등에 대한 공정성을 학립시켜 왔다. 셋째, 학벌획득은 공정한 교육경쟁을 거친 능력의 결과라고 보기 어렵다. 넷째, 학벌은 능력 소지 여부와 관계없이 간판초과를 발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학벌은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자원으로서 능력주의에 기초해 있으면서도 불평등을 구축하고 재생산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영어초록

    In Korea society "Hakbeol" has been criticized as an essential mechanism for causing pathological
    phenomena of education such as ranking of universities, instrumentalization of education, obsession
    with exams, and perversion of education fev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cademic validity of such criticisms.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Hakbeol" formation, analyze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its growth, discusses relevant issues, and reveals characteristic of "Hakbeol" as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akbeol" is not a product of factors inherent in education, but a product of status
    attainment struggles amongst competing status groups.
    Second, "Hakbeol" has relied on academic cronyism to maintain its hold on society. "Hakbeol" has
    justified the meritocratic ideology that success depends solely on achievement and popularized the
    idea that resulting inequality is due to fair process.
    Third, it is difficult to view acquirement of "Hakbeol" as a result of fair competition.
    Fourth, "Hakbeol" is seen as an indicator of an individual's ability regardless of the actual ability
    possessed by that individual.
    Last, even though "Hakbeol" is a personal, social, and cultural resource based on principle of
    meritocracy, it serves as a mechanism for establishing and reproducing ineq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회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