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계화에 따른 지역 교육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 분석: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 사례를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7.01
26P 미리보기
세계화에 따른 지역 교육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 분석: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 사례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17권 / 2호
    · 저자명 : 김민호

    목차

    Ⅰ. 서론
    Ⅱ. 세계화와 교육의 변화
    Ⅲ. 세계화와 제주국제자유도시의 추진
    Ⅳ.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에 따른 지역교육의 변화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세계화라는 보편적 경제 질서가 제주국제자유도시의 추진을 매개로 제주 지역사회의
    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제주 주민들은 이에 대해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제주국제자유도시특별법’을 비롯한 관련 법률에 내포된 ‘교육 담론’과 이를 근거로 추진된 여
    러 ‘교육정책’ 및 이 시기에 전개된 지역 주민의 세계화에 대항하는 ‘대안적 교육활동’ 등을 관련
    자료와 관계자 면담 등을 통해 살펴본 뒤, 세계화가 제주 지역교육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논의
    했다.
    무엇보다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 이후 자율학교 확대 운영과 교육자치구조의 변화 등 교육 시스
    템의 재구조화가 부분적으로 이뤄졌다. 교육을 상품화하려는 관점이 등장했으나 제주도의 인구학
    적, 산업적, 지리적 특성으로 말미암아 외국교육기관의 설립은 아직까지 전무한 실정이고, 다만 민
    자를 활용한 영어전용타운과 국제고등학교의 설립이 추진 중에 있다. 세계적 표준에 따른 제주 교
    육의 국제화 역시 영어교육 외엔 두드러진 추진 실적이 없다. 결국 현재의 제주국제자유도시는 교
    육시장 개방을 기대했던 이들에겐 ‘장밋빛 환상’이었고, 이를 우려하는 이들에겐 ‘기우’였음이 밝혀
    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과 제주교육의 세계화라는 담론은 세계화에 대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필요를 느끼지 않는 제주 주민들에게 “개방하지 않으면 제주사회가 발전할
    수 없다”는 인식을 심는 데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발휘하였다. 다른 한편 시장 중심 세계화 교육담
    론의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간파한 일부 제주지역 주민들은 시민사회 중심 공교육의 재구조화를 추
    진했다. 하지만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노력은 부족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sed the effect of globalization on education in Jeju, Korea, and how the residents
    of Jeju have reacted to such change. This study examined the laws of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the educational policies of Jeju based on said laws, and the alternative education activities by Jeju
    NGO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entral government, the Jeju province authority, political parties, and Jeju NGOs
    negotiated in the process of legislation of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Law(JFICL) with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Second, even though the drive for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made the education service trade
    more likely, no foreign school has yet to be established in Jeju due to its demographic, industrial,
    and geographic conditions. There has been little success so far in rais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o
    international standards.
    Third, although attempts at improving the equality of education has been limited, discourses on
    globalization of Jeju education has served as an ideology, which bound Jeju residents together by
    instilling in them the belief that Jeju will not be able to prosper unless it became more open and
    developed global-leader education for its students.
    Fourth, some Jeju NGOs, who saw through the ideological function that the talks for global
    education served, tried to educate the value of "ethical globalization" to the Jeju people including the
    students. They were interested in civic-participation, social inclusion, and community education, but
    not yet in global-citizenship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회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