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이주노동자의 사회공간적 특성과 권리에 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12
28P 미리보기
이주노동자의 사회공간적 특성과 권리에 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23권 / 3호
    · 저자명 : 문경희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지구화, 이주, 공간의 한계
    Ⅲ. 임시(temporary) 이주노동자의 권리와 사회통합 문제
    Ⅳ. 고용허가제 이주노동자와 공간에 대한 권리
    V. 나오며: 이주노동자의 공간에 대한 권리를 생각해보기

    초록

    본 논문은 국내 이주노동자들의 일상생활 공간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삶의 조건을 파악함과 동시에, 우리사회에서 그들이 어떠한 ‘사회적 관계’에 위치 지어져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용허가제로 국내에 유입된 이주노동자들은 우리사회에서 ‘열등한’ 인종적, 민족적, 계급적 타자인데다가, 사실상 그들이 체류자격이 길어야 5년이라는 이유로 인해 우리나라의 초국적 자본주의 공간에서 가장 취약한 약자 집단에 속한다. 본 논문은 인간이 공간적 존재라는점, 또한 공간이 사회적 권력관계가 응축되어 나타나는 장이라는 점에서, 공간의 문제는 곧 권리의 문제라는 입장을 가진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이주노동자들은 그들의 ‘비국민성’과 임시체류 자격으로 인해 공간에서의 배제와 때로는 공간의 부재를 경험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는 곧 그들의 권리의 부재이며, 권리로부터의 배제를 의미한다. 한편, 유입국 영토에 대한 주권이나 권리의 주체자가 되지 못하는 이주노동자들은 공간에 대한 권리를 경제적 이득과 교환 가능한 부차적인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대안적으로, 그들은 사이버 세계와 같은 도시 미디어 공간에서 모국이나 타지에서 거주하는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소통하며 여가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다른 한편, 본 논문은 최근 이주노동자 밀집 주거?생활공간의 일부가 지역 정부들에 의해 ‘다문화 특구’ (또는 ‘다문화 거리’)라는 새로운 공간적 정체성을 부여받고 있다는 현상에 주목한다. 이러한 사회공간적 현상은 최근 우리나라에 ‘다문화’라는 관용구가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비판과 함께, 다문화주의에 대한 관심이 ‘다문화 상품화’나 ‘다국적 자본주의의 문화논리’로 귀결되고 있다는 비판과 접목된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인정과 재분배를 전제로 하는 다문화주의 이념이 공간 구성과 작동 원리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또한 다양한 체류자격을 가진 이주자의 유입이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영토주권에 기반한 공간 구성과 운영 방식에서 벗어난 공간성 및 다양성 확보와 공간 정의의 실천을 가능케 할 학문적 상상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aspects of international migrant workers’ experiences of spatial division and
    social exclusion in Korea. The spaces which the industrial migrant workers holding a Non-professional
    Employment (E-9) visa use in a daily life are hierarchical in terms of race, ethnicity, and class. They are
    not only physically but also socially divided and marginalized. Koreans seem to consider migrant
    workers as a labor product which is circulated between their countries of origin and destination in
    response to the international labor market demand. It is largely because they have little possibility of
    becoming permanent residents and later Korean citizens by naturalization as they are legally limited to
    stay in Korea for no longer than five years. Their temporary visa status makes migrant workers’
    positions in Korean capitalist society very vulnerable. Migrant workers tend to remain in their living
    boundary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financial resources, and language barrier. Because their major
    goal to stay in Korea is to earn money as much as possible within a short-time period and therefore, they
    focus on reducing their social activities which cost money. Thus, instead of showing unsatisfaction of
    the oppressed or uncomfortable spaces, migrant workers prefer or feel more comfortable connecting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friends in their homeland or who are working in different countrie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makes this possible. As a result, migrant workers seem to spend
    most of their time in media or cyber space, rather than engaging with their local community. This implies
    that to migrant workers, Korea is considered as a place like ‘temporary shelter’ or ‘international
    terminal’, where money and people only circulate. This paper claims that absence of the right to space
    is the same as absence of human rights as well as civil rights. ‘Multicultural’ policies implemented in
    contemporary Korea is not effective to protect the migrant workers’ rights to space. More ethnic
    enclaves based on racial and cultural homogeneity will appear in many parts of Korea. In this context,
    Korean society needs to strengthen its politics of recognition and politics of redistribution, which are
    essential concepts of multicultur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21세기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