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권 개혁 이후 대통령과 여당의 협력과 갈등:17대 국회 쟁점 이슈들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12
22P 미리보기
분권 개혁 이후 대통령과 여당의 협력과 갈등:17대 국회 쟁점 이슈들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23권 / 3호
    · 저자명 : 장훈

    목차

    I. 서론: 제도개혁과 행위자- 분권을 통한 대통령 -여당 상생실험의 딜레마
    Ⅱ. 탈제왕적 대통령과 분권화된 여당의 실험: 이론과 실천의 전개
    Ⅲ. 대통령과 여당의 상생 협력과 갈등: 행정복합도시 특별법(2003-2005), 사학법 재개정(2006-2007), 개헌 논란(2007) 사례를 중심으로
    Ⅳ. 결 론

    초록

    17대 국회는 대통령과 여당 사이의 분권과 분리를 통한 상생실험이 본격적으로 시도되었던 실험적인 시기였다. 당권, 대권 분리 등을 통한 제왕적 총재의 약화와 정당의 분권화 개혁을 통해서 대통령-여당 사이에 일방적 지배관계를 넘어서 상생협력의 개혁을 모색한 시기였다. 이 글에서 우리는 이러한 제도개혁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제도개혁의 내용보다는 개혁정치의 틀속에서 행동하는 행위자의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사례분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행정복합도시 특별법, 사학법 재개정, 개헌 논란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언제 어떠한 조건에서 대통령과 여당이라는 행위자가 상생협력의 행동논리를 강화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 가지 사례에 대한 심층사례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첫째, 상생협력에 중요한 것은 대통령의 권력자원보다도 대통령의 여당에 대한 설득형의 접근방식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둘째, 대통령의 설득형 상생 노력이 좀 더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조건은 여당이 내부의 단합도를 비교적 높게 유지할 때라는 점이 밝혀졌다. 셋째, 대통령의 설득방향이 이해관恪塤騈?압력이나 선거주기와 일치할 때에 대통령의 설득과 여당과의 상생은 보다 효과적으로 작동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우리의 결론은 향후 대통령 리더쉽의 모색과 정당개혁 논의의 방향에 적지않은 의미를 함축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17th National Assembly witnessed the rise of experimentation toward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ident and governing party. The experimentation focused both on the weakening ties
    between the two main political institutions and enhancing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strucutre within
    governing party.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ditions for effective cooperation between the president and
    governing party focusing on their behaviral patterns during the 17th National Assembly. We examine
    three crucial cases of Special Legislation for National Goverment Complex, Revising the Private
    Schools Acts, and the issue of Constitutional change. The case studies revealed three significant
    findings. First, when the president attempts to do politics of persuation toward governing party, the
    leadership style of the president matters more than the magnitude of the presidential power resources.
    Second, presidential politics of persuation is more effective when the internal cohesion is solid within
    the governing party. Third, presidential persuasive power is more effective when coupled with the
    pressure from interest groups and electoral pressure on members of governing party. This article argues
    that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further discourse on reforming parties, presidential
    power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xecutive and the legisl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21세기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