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양 고중세시대의 평화 이념과 실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01
36P 미리보기
서양 고중세시대의 평화 이념과 실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5권
    · 저자명 : 박흥식

    목차

    Ⅰ. 도입
    Ⅱ. 그리스의 평화구축 시도들
    Ⅲ. ‘로마의 평화’의 성립과 본질
    Ⅳ. 중세의 평화운동
    Ⅴ. 결론을 대신하여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초록

    이 글은 서양 고대와 중세의 평화 이념을 엿볼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사례들을 선별하여 그 용어들이 출현한 맥락과 당대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 고대 그리스로부터 로마시대와 중세시대까지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과 그 성격을 단편적으로 파악하려 한다. 그와 더불어 당대인이 평화를 무엇이라고 생각했고 어떻게 실현시키려 했는지, 그리고 평화의 이념과 실제 사이에는 어떤 괴리가 있었는지 조망하려 의도한다.
    서양의 고대와 중세를 관통한 평화에 대한 열망은 다양한 평화체제 구축의 시도로 나타났다. 그리스에서는 동맹을 형성해 평화를 구축하려고 했으나, 헤게모니를 노리던 아테네와 스파르타 사이의 대결구도와 동맹회원국들의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기가 어려웠고, 평화는 늘 잠정적이었다. 동맹체제를 이용해 성공한 로마는 대제국을 이룩했으나, ‘로마의 평화’가 힘의 우위에 기반하였기에 전쟁과 군대가 불필요해지지 않았다. 주교들과 종교기관들이 주도한 중세의 평화운동은 일정 정도 폭력을 순화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렇지만 전쟁과 폭력 자체를 부정하지 않았기에, 지나친 폭력을 자제시키는 수준에 머물렀다. 교황과 유럽 각국의 국왕들은 평화운동의 에너지를 이용해 십자군원정을 주창하거나 중앙집권적 권력을 강화해 나갈 기회로 삼으려 했다.
    평화를 의미하는 다양한 용어들은 실제로 상이한 맥락과 의미를 담고 있었다. ‘평화’라고 칭한다고 다 같은 평화였던 것은 아니다. 근대 이전에 현세에 구현하려던 평화는 한정된 공간과 시간에 제한된 ‘닫힌 평화’였다. 평화가 통용되는 특정 공간 밖에는 폭력이 일상을 지배했다. ‘시민평화’나 ‘공공의 안녕’을 의미하는 개념도 등장했지만 보편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에는 이르지 못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lect the most typical cases with which we can examine idea of peace in the ancient times and the medieval times of the West and investigate the context where the terms appeared and their meaning in those days. And with this, the study intends to figure out their diverse efforts to build up peace from the ancient Greek till Rome and medieval ti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m fragmentarily. Along with this, the paper also aims to examine how the contemporaries defined peace and how they tried to realize it and also what kind of gap existed between ideology of peace and its practice.
    The aspiration for peace that penetrated the ancient times and medieval times of the West was revealed as attempts to build up a variety of peace systems. People in Greece tried to build up peace by forming an alliance, but it was hard to adjust different interests conflicting among the member nations of the alliance, and there was confrontation between Athens and Sparta aiming for hegemony, so peace was always being provisional. Rome employing the alliance system successfully did succeed in founding the great empire using the alliance system; however, ‘Roman peace’ was grounded on the superiority of power, so the military and war kept being necessary. The peace movement of the medieval times led by the bishops as well as religious institutions did gain fruition by reducing the violence partly. But they did not deny violence or war entirely, so what they could do was just calming down excessive violence. The Pope and the kings of European countries did try to advocate the Crusades by using the energy of the peace movement or take it as a chance to strengthen centralistic power.
    In fact, diverse terms that mean peace imply different context and meaning. What are referred to as ‘peace’ are not all peace. The peace that was attempted to be realized in this world before the modern times was limited ‘closed peace’ that was confined in limited space and time. Outside the specific area where peace was commonly used, violence did rule the world. Even though concepts that meant ‘civil peace’ or ‘public peace’ also appeared, they were not able to think it could possibly be realized univers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