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靑瓷 出現의 수수께끼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01
49P 미리보기
高麗靑瓷 出現의 수수께끼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5권
    · 저자명 : 李喜寬

    목차

    Ⅰ. 문제의 제기-연구사와 방법론적 성찰
    Ⅱ. 월요청자제작기술의 전파와 그 실상
    Ⅲ. 월요청자제작기술의 수용과 청자 생산의 주체
    Ⅳ. 고려초기 청자 수요의 증가
    Ⅴ. 나머지말-고려청자의 출현, 必然인가 偶然인가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초록

    본고는 고려청자의 출현을 가능하게 한 요인이 무엇일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여, 그 요인을 자기의 제작과 관련된 기술과 생산(자본) 그리고 수요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려청자가 越窯의 청자제작기술을 토대로 하여 출현하였다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시기는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직후인 940년대였으며, 이 시기에 다수의 越窯陶工들이 고려에 이주한 것으로 판단된다. 월요의 청자제작기술이 고려에 “전파”된 것과 관련하여 가장 큰 의문은 이 시기에 하필 월요의 도공들이 고려로 이주하였을까 하는 점인데, 그것은 무엇보다도 그들이 본래 한반도에서 중국의 浙東地方으로 이주하여 월요에서 窯業에 종사하던 사람들이거나 그들의 후예들이었다는 점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즉 그들이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직후에 고려에 돌아왔으며, 그들을 통하여 월요의 청자제작기술이 고려에 전해졌다고 여겨지는 것이다. 고려에서 월요의 청자제작기술을 “수용”하여 窯場을 설립하고 청자를 생산한 주체로는 고려정부와 호족들이 거론되어왔다. 하지만 고려정부가 청자의 생산을 주도하였다는 견해를 뒷받침해주는 근거들을 분석해볼 때, 그다지 설득력이 있다고 보기 힘들다. 신라말고려초의 유력자였던 豪族들이 한반도 출신 월요도공들을 받아들여 요장을 설립하고 청자를 생산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더 나아가 고려의 “초기청자”요장들이 중서부지방에 산재해 있다는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이 지방의 호족들이 그 주역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중서부지방의 호족들이 곧 생산(자본)의 측면에서 고려청자의 출현을 이끈 주인공이었다는 이야기가 되는 셈이다. 한편, 신라 말기에 禪宗이 유행하면서 승려층이 새로운 飮茶階層으로 등장하고 아울러 고려 건국 직후 태조의 불교정책에 힘입어 승려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들은 고려청자의 최대의 잠재적 수요층으로서, 누구보다도 이들이 수요(소비)의 측면에서 고려청자의 출현을 견인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초기청자의 생산품이 완 등 음다와 관련된 것들에 집중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originates from the question on what kind of factors created Koryo celadon and it analyzed such factors from the perspectives of technique, production (fund) and demand related to pottery manufacturing.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is widely known that Koryo celadon was created based on the celadon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Yue kiln(越窯). More specifically, it dates back to the 940s, immediately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by Koryo and it is assessed that many potters of the Yue kiln moved to Koryo at that time. The biggest question on the “spread” of the Yue kiln techniques throughout Koryo is why at this particular point of time the Yue kiln potters came to Koryo. It is understood related to the assumption that they were the people engaged in the pottery business in the Yue kiln after moving to the Zhedong(浙東) province in China from the Korean peninsula or theirdescendants. In other words, it is considered that the potters came back to Koryo right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of Korea and spread the Yue kiln techniques in Koryo.
    It has been mentioned that the government and the powerful local gentry(豪族) of Koryo Dynasty are the main agents who “embraced” the celadon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Yue kiln, built kilns and produced celadon. However, it is hardly convincing given the analysis on the grounds for the opinion that the Koryo government led the celadon production. It is rather highly possible that the powerful local gentry, the influential forces in late Silla and early Koryo period, embraced the Yue kiln potters of Korean origin, established kilns and made celadon. Moreover, considering that the kilns for “early celadon” of Koryo scattered over the Middle Western province, the leader would have been the powerful gentry of the province. In other words, it was the powerful local gentry of the Middle West province who led the creation of Koryo celadon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tion (fund).
    Meanwhile, with Zen Buddhism in fashion in late Silla period, the Buddhist monks emerged as a new group of enjoying tea. Thanks to the policy for Buddhism by King Taejo right after the establishment of Koryo, the number of the monks increased significantly. They were the biggest potential customer group of Koryo Celadon and drove the creation of Koryo celadon in terms of consumption. In this sense, it might be only natural that Koryo early celadon production was focused on tea-related wares such as tea bowl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