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rt Therapeutic Aspects of Clay in Art Educatio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6.01
31P 미리보기
Art Therapeutic Aspects of Clay in Art Educatio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조형교육 / 27권
    · 저자명 : JeeEun Kim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Definitions of Art therapy and Special Education with Art Education
    2. Definitions of the Visually Handicapped
    Ⅲ. Clayworks of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
    1. Role of Clay in Classroom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
    Ⅳ. Case Studies
    1. Students
    2. The Lessons
    1) Basic Claywork Techniques
    2) Head and Face
    3) Tree
    4) Hand and Foot
    5) Animal
    6) Free
    3. Writing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
    1. Outcomes for Blind vs. Visually Impaired
    2. Evaluations
    3. Instructor Beliefs
    ※ REFERENCES
    ※ ABSTRACT

    초록

    Art is one of those classes most easily available to the disabled. Art is createdand viewed for pleasure, distraction, the telling of stories, emoting, documentationpurposes, service as an educational tool, the channeling of creative energies, andthe processing of personal experience. Art educational also provides channels bywhich many exceptional children receive help in organizing their own environmentand in drawing on meaningful motivation. Art and art education have importantroles in both the diagnostic field and therapeutic field, since we are conducted notonly with the child as a learner but also with his or her development as a person.

    영어초록

    모든 인간은 그가 가지고 있는 장애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창의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미술은 이러한 창의성을 바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 아동들과 같이 시각장애 아동들에게 있어서 미술은 창의적 활동의 하나로서, 그들은 시각적인 제한을 극복하고 작품을 완성함으로서 더 큰 만족감과 미적인 충족감을 가질 수 있으며, 미술치료에서 추구하는 감정의 정화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시각장애 아동에게 미술교육은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현실 사회 속에서 객관적인 지식을 경험하여 상호 관계를 이해하도록해야 하며, 개인으로서의 책임과 권리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장애를 가진 아동뿐만 아니라 모든 아동에게 가장 유용한 교육매체의 하나로서 오랫동안 인식되고는 있었으나, 드로잉, 꼴라지 등의 매체에 비해 실험적인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던 찰흙(Clay)을 매체로 선택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미국, Wisconsin School for the Visually Handicapped(WSVH)에서 지원한 3명의 전맹아동(A.L., M.O.과 S.N)과 4명의 시각장애 약시아동(D.J.,E.F., K.S.과 R.D.)들과 함께 7주(02/24/2004~03/18/2004)동안, 6회(기초 기법 익히기와 5가지 주제; 얼굴 만들기, 나무 만들기, 손과 발 만들기, 자유롭게 만들기)에 걸친 찰흙 수업을 통하여 이루어 졌다. 또한 국내외의 문헌 자료를 토대로, 실습기간 동안의 수업 진행 교사노트, 학생 작품, 수업 직후 점자타자를 이용한 작문과 학생 개인의 수업에 대한 평가(Class Evaluation) 등의 자료들을 종합하고, 비교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3차에 걸친 작품 전시를 통해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 아동에게 있어서 찰흙을 이용한 미술교육의 치료적인 가능성을 확인하고 실습과 결과 분석을 통하여 기본적인 기법과 이론적 지식을 가르치고 이해시키는 것에 있다. 시각장애 아동을 위한 미술교육에 있어서 다 방면의 이론적 연구와 함께 실제 수업을 연구 비교함으로써 미술교육에 있어서 미술 치료적 필요성과 특수교육적인 지도 이념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한 영향력 있는 교사 교수의 중요성과 커리큘럼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위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고려할만한 몇 가지 중요한 점을 결과로서 발견하였다.
    첫째, 전맹아동과 시각장애 약시아동을 비교해 볼 때 전맹아동은 몇 가지 익숙한 기술(공 만들기, 말아 만들기 등)을 선호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성취결과에 있어서 시각장애 약시아동에 비해 긴 시간동안 순차적으로 완성해 나갔다. 색상에 있어서 시각 장애 아동은 새로운 색상을 요구하는 등 전맹아동에 비해 비교적 다양하게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시각장애 약시아동은 옆자리 친구의 주제와 형태 모방하는 등 주변의 영향을 받았으며 세부묘사와 사회적 관계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있어서 더욱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 평가 과정에서 7명의 아동 모두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와 도움을 필요로 했으며, 과정에 대한 아동들의 관심을 유지하고 기억을 돕기 위해 매차 활동 후에 즉각적인 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켈로그(1970)의 연구를 토대로 한 정상 아동과 시각장애 아동의 표현유형 비교에서 시각 장애를 가진 아동의 표현단계는 시기적으로 늦게 나타나는 것일 뿐 정상 시각 아동과 같은 발달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