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근대 상품광고로 본 新소비문화와 신여성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2.01
41P 미리보기
근대 상품광고로 본 新소비문화와 신여성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2권
    · 저자명 : 김응화

    목차

    Ⅰ. 머리말
    Ⅱ. 근대 여권의 신장과 신여성의 등장
    Ⅲ. 근대 상품광고로 본 新소비문화 형성
    Ⅳ. 新소비문화 속 신여성의 풍경
    Ⅴ. 맺음말

    초록

    본 연구는 서구문화의 유입으로 인한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 등장한 근대 신여성이 향유한 새로운 소비문화의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당대 신여성상의 한 측면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처음 ‘신여성’이라는 말은 대체로 학교를 통해 근대적 신교육을 받은 여성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고, 전통적인 여성 즉 ‘구여성’과 대립되는 용어로서 불리었다. 이들 신여성들은 외형의 스타일에도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면서 근대 상품 소비의 주체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신여성의 범주가 점차 넓어짐에 따라 그들에 대한 남성 중심 사회의 시선은 점차 부정적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신여성의 이미지도 사치와
    낭비를 일삼는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근대 상품광고의 흐름을 살펴보면, 1900년대 이전과 1910년, 1920년까지 자주 등장했던 담배와 주류 광고는 점차 다른 상품광고에 자리를 내어주었고, 의약품의 경우는 근대 전 시기를 걸쳐 가장 많은 광고가 게재되어, 의약업계가 최대의 광고주로 위치하고 있었다. 그리고 1910년대 들어 제화 시계 모자 안경 등의 장신구 광고가 37.4%로 두 번째를 차지했고, 화장품 광고가 그 다음을 잇고 있다. 이러한 상품 광고를 통해 근대의 새로운 소비문화, 즉 신소비문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장신구 및 화장품, 의류 등의 광고가 시기가 지날수록 꾸준히 증가세를 보인다는 점은 당시 여성들의 소비 경향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신여성의 소비는 화장품뿐만 아니라 의류, 각종 장신구 등에 이르기까지 외모를 꾸밀 수 있는 모든 상품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따라서 신여성은 전통적 구여성과 외모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나아가 전통을 지키려는 구여성과 새로운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신여성의 생활태도에도 차이가 나타나며 양자 간의 사회적 갈등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신식 교육을 받은 많은 여성들은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였고 新소비문화의 중심에 위치하였으며, 이러한 이미지는 구여성과 구별되는 신여성의 일반적 특징으로 정착되어 갔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new trends of consumption
    culture enjoyed by the modern women that appeared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due to the inflow of Western culture into Korea and to discover one of
    the aspects of the modern women of the day.
    In the beginning, the word ‘modern women’ were mostly interpreted as those
    women who received the new modern education at school, used as the opposite
    word for ‘old fashioned women or traditional women.’
    The modern women appeared as the new main agent of product consumption
    pursuing new changes and trends for their look and style. However, as the
    category of the modern women gradually and socially became broadened, the
    men-oriented society began giving them a negative look. Accordingly, the image
    of the modern women also changed; they were considered as negative factors that
    habitually spend their money and have extravagant tastes.
    When it comesto the flow of modern commercials, advertisements of cigarettes
    and alcohol, which frequently appeared before 1900s and between 1910s and
    1920s, slowly disappeared giving other products spots of the advertisements.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had the largest number of advertisements during
    modern times, placing themselves as the most popular advertiser. In 1910s,
    accessories such as shoes, watches, hats, and glasses ranked the second taking a
    37.4% of advertisements followed by cosmetic advertisements. These product
    commercials and advertisements prove that new consumption culture appeared in
    the modern times. The increase of the advertisements of accessories, cosmetics, and
    clothes especially show that consumption of woman consumers also gradually
    increased in the modern times.
    Various products were actively consumed by modern women such as cosmetics,
    clothes, and accessories that can enhance their appearance; the modern women
    clearly showed differences in their appearance from the traditional women.
    Furthermore, there also had been a social conflict between the traditional women
    who pursued traditions and the modern women who actively accepted new
    cultures.
    These analyses imply that the modern women who received the new education
    pursued new things and changes placing themselves at the center of new
    consumption culture; this image has settled as on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women separated from the traditional wome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