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민속에 대한 박물관 전시 - 2008년 전북 민속문화의 해 전시를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0.12
17P 미리보기
지역민속에 대한 박물관 전시 - 2008년 전북 민속문화의 해 전시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저자명 : 김윤정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론
    Ⅲ.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국립 민속박물관은 지 역 민속과의 소통과 포팔을 위해 2006년부터 “지 역 민속문화의 해” 사업
    을 하고 있다. 본 발표의 내용은 이 사업의 일환으로 열린 2008 전북민속문화의 해 특별전《호
    남평야 농부 김씨의 한평생 》전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지역민속을 수도(서울)의
    박물관에서 열면서 풀어갔던 여러 문제에 관한 것이다.
    ‘지역민속문화의 해’ 전시는 수도에 위치한 문화기관인 국립민속박물관과 지역의 행정기관인
    도청이 함께 사업을 수행하는 파트너이기 때문에 양측의 목표와 이해를 함께 고려하여 전시주제
    를 잡아야 한다. {호남평야 농부 김씨의 한평생 》 전은 평범한 개인의 삶이 모여 역사가 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평범한 것’ 을 특별한 공간에 옮겨 특별하게 조명해 보고자 한 전시였다.
    ‘지역’ 또는 ‘지방’ 은 수도(우리의 경우, 서울)를 중심에 두고 지리적인 위치에 의해 상대적
    으로 주어지는 개념이기 때문에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공간적인 기반’ 이다. {호남평야 농부
    김씨의 한평생》 전은 지역 공간성의 기본이 되는 땅에서 일차적으로 지역성을 찾고자 했다. 지
    역민의 70% 가 호남평야와 관련된 삶을 살고 있다는 전라북도에서 그 땅을 일구며 자식들을 키
    워내고, 그 땅을 지키고 평생을 살아온 평범한 사람의 삶을 한번 들여다보면 어떨까하는 생각
    에서 자연스럽게 농부를 떠올 릴 수 있었다. 전시물이 전제가 되어야 하는 전시의 특성을 고려
    하여 가장의 인물 김씨를 설정하였으며, 김제시 광활면이라는 특정지역 에서 개간지를 일구며
    평생을 살아온 사람들의 삶의 여정을 그곳에 생존한 인물들의 구술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하
    였다. 전시장에서는 구술영상을 통해 지역민들이 직접 관람자들을 만나도록 구성하여 전시 주
    제의 진정성을 얻고자 하였다. 관람자들은 전시를 보면서 마치 자신의 할아버지로부터 옛이야
    기를 듣듯이 김제 광활면에 살고 있는 한 촌로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전시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시를 통해 지역의 역사에 관심을 가질 수 있었다는 평가가 있었고, ‘평범한 삶’ 에 대한 것
    을 희소의 가치가 있는 유물을 다루는 박물관에서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람객들의 호응이
    있었다.

    영어초록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has been conducting the “Year of the Regional Folk Culture"
    project since 2006. The content of this paper consist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pecial
    Exhibition of The Year of 2008 Jeonbuk Folk C비ture, {Memories through the Year: a Farmer's
    Story} and issues relating to holding a regional folk culture exhibition in the capital city of Seoul
    {Memories through the Year: a Farmer’s Stoπ} exhibition was based on the concept that a history
    was made with collected stories of ordinary folks' lives and it was an attempt to shed a new light on
    ordinary objects by relocating them to a special space.
    ‘πle Year of the Regional Folk Culture' exhibition was a c∞peratlve proJeα betwee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located in Seoul and the local government. Therefore, the subject of the
    exhibition needed to meet both institutions’ objectives and mutual understanding. A region could
    be defmed around the location of the capital. So the most basic element to consider was the spa디al
    foundation. {Memories through the Year: a Farmer's Sto마} exhibition primarily 띠ed to find its
    regionallty in the land. Considering 700/0 of the local residents in the north Jeolla province lived in
    the vast field of the Honam region, a farmer’s life seemed to naturally come up as an ordinary folk
    who had been living in the region all his life. Since displayed objects were prerequisite in an
    exhibition, a fiαitious person named Mr. Kim was created. Also, the lives of the local people who
    had been living in Gwanghwal-myeon, Gimje-si cultivating the land, had been reconstructed
    through their oral history. πle e양libition space was set up for the regional people to meet the
    visitors direαly through interview footage and to gain authenticity. πle visitors were to experience a
    story of an old v피ager of Gwanghwal-myeon, Gimje-si, as κ liste띠ng to their grandfathers’ tales.
    The exhibition was evaluated as an opportunity to raise interest in the regional history and α was
    well accepted by the visitors as a rare chance to see an ordinary life in a museum where
    extraordinary objeαs were normally exhibit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