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어린이박물관에서의 미술감상을 위한 체험적 전시의 인기도 및 효과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5.01
24P 미리보기
어린이박물관에서의 미술감상을 위한 체험적 전시의 인기도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저자명 : 이경희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미술감상 전시의 특성
    3. 자료수집 방법
    4. 연구절차
    5. 자료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초록

    사회가 산업기반의 경제에서 지식기반의 경제로 바뀌면서 교육이 21세기의 주된 산업이 될 전
    망이나, 학교와 같은 형식적 교육기관들은 사람들의 교육에 대한 열망을 충족시키기 어려울 전망
    이다 이에 평생학습을 위한 그리고 자유로운 선택에 의한 비형식적 학습기관이 더욱 주목을 받음
    으로써 향후 지식기반의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Packer & Ballantyne.
    2002). 박물관은 비형식적 교육을 가장 잘 실천하는 기관으로서 사람들이 자기 지신과 사회를 위
    해 정보를 습득하고 생각을 발전시키며 새로운 비션을 설정하는 장소로서 그 중요성이 증가할 것
    으로예측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아동을 주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어린이박물관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닌
    다. 성인이 되어서 박물관을 자주 방문하는 사람은 어렸을 때 박물관을 자주 방문했던 사람이라고
    Hood와 Ohio (1996) 가 보고했듯이 , 어린이박물관은 아동들에게 전통적인 박물관 방문을 위한 가
    교역할을충분히 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ed in the Samsung Children' s Museum investigated as follows. First,
    whether or not the popularity of art exhibits differ according to the type of
    exhibit(participatory versus non-participat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 Second
    was to find out whether or not the perception of art exhibits differ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ory exhibit. Third was observed whether or not
    the children interacted with the exhibits in compliance with the objectives that were
    originally set out for each exhibit. And last was finding out that the time spent at each type
    of participatory exhibit and the number of participatory exhibit chosen differ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Subjects were 160, 5- 12 year olds children,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a preschool group of 5- 6 year olds, a lower elementary group of 7 - 9 year old, and
    a higher elementary group of 10-12 year olds). A tirning and tracking observation checklist
    was used to document the time spent at each participatory and non-participatory exhibi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pularity of participatory exhibits differed from the non-participatory exhibits.
    Overall, 10 Participatory exhibits excluding one had remarkably high popularity comparing
    with 4 non-participatory exhibits which had low attractiveness and holding power. Also, the
    popularity of participatory exhibits diffe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xhibits.
    55 percent of those had both high attractiveness and holding power, so they were the most
    popular. Closely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we can find the activities like spinning a
    handle for perceptual discrirnination, sliding four puzzle pieces, tuming pages, scratching, and putting pieces into the hole for feeding. These activities were the exhibits not only for
    perceptual discrirnination, but also for needing other small muscle activities.
    Second, the perception of art exhibits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ory exhibits.o Two exhibits which showed 100 percent of perceiving frequency
    needed the perception of exhibit for interacting with participatory exhibit more. Average
    frequency of perceiving artworks was 73.8 percent, and was statically higher than
    frequency of not perceiving. Furthermore, after observing the perception of artworks
    according to childreno s age, the elementary kids perce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ory exhibit and the artwork more.
    Third, 94.4 percent of children interacted with the participatory exhibits in compliance
    with the objectives that were originally set out for each exhibit. Like the exhibition of this
    study, if we related the artwork and the participatory exhibit more, the participatory exhibits
    were used as the purpose of the exhibit more comparing with formal research.
    Fourth, by research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spent and the number of
    participatory exhibits chosen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rticipatory exhibits chosen, but in the time spent. Therefore, preschoolers
    interacted with participatory exhibits the longest, then, a lower elementary group, and
    finally, a higher elementary group.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