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Museum Narratives and Intangible Heritage - Reflections on the concept of intangible heritage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4.01
13P 미리보기
Museum Narratives and Intangible Heritage - Reflections on the concept of intangible heritage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저자명 : Min Jeong Ko

    목차

    Introduction
    Two women stories from Jeju island
    Why safeguarding the intangible
    Which/whose stories could be included in the lists of heritage?
    Diverse narratives and the authority of a museum
    Towards further discussions
    References
    Online resources

    초록

    The concept of intangible heritage literally seems to empower interpretive storiesextended from object-centered heritage. It consequently pre-supposes a new landscape toexisting practices, which traditional museums have considered in relation to collecting,documenting, and exhibiting something static, exceptional, genuine, good and old oreven archaic. This paper discusses three main questions in relation to museum narrativesand the cultural access agenda: firstly it starts with the rationale for safeguarding intangibleheritage. Secondly this question is extended to the politics around selecting andinterpreting heritage. Lastly it discusses what the author views as overlapping questionsabout a deep-rooted tradition of scientific, materialistic interpretations of museum objectsand the authority of a museum. Rather than suggesting theorized views, this paper proposes open-ended questions. Asa way of reflecting on these questions, two womens' stories from Jeju island and theauthor’s personal experiences are introduced as cases for discussion. The aim ofillustrating rather subjective voices is to attempt to find a closer approach to thecomplexities underpinned around the concept of intangible heritage. The use ofsubjective qualities embedded in story-centered perspectives, seem not only to challenge the curatorial underpinning of the scientific museological “voice", but may also require anew set of tools on how to appropriate intangible within a cognitive system based onhandling of material heritage .

    영어초록

    The concept of intangible heritage literally seems to empower interpretive stories
    extended from object-centered heritage. It consequently pre-supposes a new landscape to
    existing practices, which traditional museums have considered in relation to collecting,
    documenting, and exhibiting something static, exceptional, genuine, good and old or
    even archaic. This paper discusses three main questions in relation to museum narratives
    and the cultural access agenda: firstly it starts with the rationale for safeguarding intangible
    heritage. Secondly this question is extended to the politics around selecting and
    interpreting heritage. Lastly it discusses what the author views as overlapping questions
    about a deep-rooted tradition of scientific, materialistic interpretations of museum objects
    and the authority of a museum.
    Rather than suggesting theorized views, this paper proposes open-ended questions. As
    a way of reflecting on these questions, two womens' stories from Jeju island and the
    author’s personal experiences are introduced as cases for discussion. The aim of
    illustrating rather subjective voices is to attempt to find a closer approach to the
    complexities underpinned around the concept of intangible heritage. The use of
    subjective qualities embedded in story-centered perspectives, seem not only to challenge the curatorial underpinning of the scientific museological “voice", but may also require a
    new set of tools on how to appropriate intangible within a cognitive system based on
    handling of material heritage .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