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退溪 李滉의 聖學에 대한 현대적 성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2.01
23P 미리보기
退溪 李滉의 聖學에 대한 현대적 성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11권
    · 저자명 : 退溪, 「戊辰六條疏」, 聖學, 惟精惟一, 科學, 객관적인식, 본성실현, 상보적융합

    목차

    1. 들어가는 말
    2. 「戊辰六條疏」에 드러난 退溪의 聖學
    3. 聖學과 科學의 만남은 어떻게 가능할까?
    4. 맺는말

    초록

    退溪(1501-1570)는 戊辰年(1568)에 宣祖에게 「戊辰六條疏」를 바쳤
    다. 退溪 聖學十圖를 저술하기 이전에 이 「疏」에서 聖學의 의미를 명
    쾌하게 밝히고 있다. 退溪에 의하면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
    執厥中.”은 聖學의 淵源이다. 大學의 格物致知와 中庸의 明善은 “惟
    精”에 해당하며, 大學의 誠意, 正心, 修身과 中庸의 誠身은 “惟一”에
    해당한다. 致知를 통하여 至善에 대한 眞知를 얻고, 力行을 통하여 至善
    을 실천하게 되면 자신의 본성을 온전히 알고 실천하는 聖人이 된다. 科
    學은 객관적 사실을 인식하는 학문인데 반하여 聖學은 자신의 본성을 인
    식하고 실천하는 학문이다. 과학자의 객관적 인식과 聖學의 본성실현의
    학문은 서로 지향하는 바가 다르고 방법도 다르다. 이 두 가지의 차이에
    대한 정확한 인지는 科學과 聖學의 상보적 융합을 크게 도울 수 있을 것
    이다.

    영어초록

    T’oegye(退溪, 1501-1570) dedicated the Mujin six provisions
    memorial to the Throne to SunCho(宣祖) in 1568(Mujin:戊辰).
    This memorial to the Throne clearly shows the meaning of the
    sage learning, and we can find T’oegye’s view of it before
    publishing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聖學十圖) in it.
    He thought the sage learning is based on the passage “the
    mind of man is restless, its affinity to what is right is small.
    Watch carefully and practice hard, that you may sincerely hold
    fast the Mean.(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
    “Investigation of things” and “perfection of knowledge” in the
    Greate Learning and “understanding what is good” in the
    Doctrine of the Mean are ways of “watching carefully”, and
    “making the will sincere”, “rectification of the mind” and
    “cultivating the personal life” in The Greate Learning and
    “being sincere with oneself” in the Doctrine of the Mean are
    means of “practicing hard”. If one becomes a man who has
    real knowledge of the highest good through “the perfection of
    knowledge” and practices the knowledge of that through
    “practicing with effort”, we call him a sage who knows our
    own nature and practices it. While the goal of the natural
    science is recognizing the object, the sage learning aims at
    knowing and practicing our own nature. Thus, natural scientists
    and sage learners have different views on aims and methods of
    their study. If we come to understand this distinction, it might
    b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complementary convergence of
    these two fields of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