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학의 새로운 지표로서 내러티브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0.01
24P 미리보기
교육학의 새로운 지표로서 내러티브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38권 / 4호
    · 저자명 : 한승희

    목차

    《요약》
    Ⅰ. 서
    Ⅱ. 마음에 대한 오류
    Ⅲ. 의미구성과 내러티브 사고
    Ⅳ. 마음의 새로운 모형-내러티브로서 자아
    Ⅴ. 결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 논문에서 필자는 교육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갖고 교육학의 새로운 언어와 논리가 무엇인지 탐색하려한다. 이는 교육학의 재개념화로서 이제 까지 당연시되던 기본 전제에 의문을 던지는데서 시작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마음(인간)에 대한 기존의 전통적 발달 이론에 잠재된 오류를 확인하고 최근에 강력한 영향력을 갖고 등장한 마음의 컴퓨터 메타포에서 나타난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오류의 원천은 금세기 후반의 학문적 인식 패러다임의 혁명적 전환에 기인한 학문적 언어의 적절성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마음의 본질을 의미 구성으로 보는 내러티브를 교육학의 새로운 지표로 제시하였다. 내러티브로서 자아는 인식론적 관점에서 본 자아로서 패러다임의 전환을 뜻한다. 지금까지 우리가 존재론적 자아를 탐구해 왔다면 이제는 인식론적 관점에서 자아를 보아야 한다. 자아의 새로운 모형으로 내러티브를 제시함으로서 존재론적 한계를 벗어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traditional views on human mind are problematic. The traditional views, which have been identified as the developmental theories in this paper are Freudian, Piagetian, and Vygotskian views on human mind. Their views have been dominant ones on the children’s minds. However, recently those views have been thought to be very problematic. Bruner has identified four principal tenets as the fundamental resources of fallacy: Egocentric perspective, Privacy, Unmediated conceptualism, Tripartism. This paper criticizes the presumptions the traditional views seem to imply and tries to propose an alternat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allacy the dominant views show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children’s mind and to propse a new paradigm on education area. With the purpose, the paper is constructed as follows. Chapter Ⅱ identifies hidden fallacies imbedded in the traditional developmental theories and examines computer metaphor recently represented as a new view on human mind. Chapter Ⅲ deals with the mode of narrative thought introduced by Bruner(1986) and examines what the narrative is about, how the narrative makes meanings, what characteristics the narrative shows, and what implications the narrative gives. Chapter Ⅳ proposes the narrataive as a new paradigms on education. Finally the Chapter Ⅴ discusses pedagogy’s academic identity and suggests some educative implications in relation to narrative and schooling.
    In this paper, three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The first holds that our schools should improve children’s narrative sensibility through the narrative arts such as, so called three great P’s, which means human Past, Present, and Possible/the subjects of history, social studies, and literature). The second holds that the interactive pedagogy should be emphasized in the classroom teaching. The interactive pedagogy recognizes children’s intersubjectivity, which means the human alblilty to understand the minds of others. And the third holds that the narrative mode of thought should be used with the support of the paradigmatic mode of thought. The paradigmatic thought is in no sense antithetical to the narrative. Scientific explanations are adjuncts to narrative interpretation and vice versa.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