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루돌프 슈타이너의 노작교육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1996.01
20P 미리보기
루돌프 슈타이너의 노작교육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34권 / 5호
    · 저자명 : 田一均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슈타이너의 노작 교육 사상
    Ⅲ. 슈타이너 노작교육론의 원리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슈타이너는 현대 사회의 문제를 인간 본연의 모습 속에서 찾고자 하였다. 물질의 세계 뿐 아니라 영혼 및 정신의 세계를 통하여 인간을 감싸고 있는 우주를 이해하고, 이를 통하여 인간 스스로를 완성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노작교육은 슈타이너 교육학의 중요한 교육 원리 중의 하나였다. 그는 노작교육 속에서 육체, 영혼, 정신을 하나로 만들어 주는 ‘전인성’의 원리, 인간의 내면세계와 외부세계를 연결시켜 주는 ‘통합성’의 원리, 삶의 실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폭 넓게 준비시켜 주는 ‘생활성’의 원리, 자연스러운 성장과 표현에 기초한 ‘모방성’의 원리 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노작교육론은 현대의 편협한 직업교육 체제에 대하여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물질 세계에만 집착하는 육체적 활동으로서의 노동과 생계 유지라는 측면만이 강조되는 직업으로서의 노동이 아니라, 더 큰 세계에 대한 인식과 전인적 인간으로 발전해 갈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그리고 인간과 자연이 함께 하는 사회, 인간의 육체와 영혼, 정신이 일치하는 세계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커다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Rudolf Steiner’s theory of vocational education (Arbeitserziehung). Rudolf Steiner came out of Central Europe, was born in 1861, and died in 1925, after an extraordinary life of prodigious research in many fields. His study was based on Anthroposophy. And the aim of his study was especially investigated human-being composed body, soul, spirit, and how this three side in human was effected to his education and his living life. The first school he founded was the Waldorf School in Germany in 1919.
    Other educational and cultural tendency show bias toward intellectual aims or some other one-sided goal favoring social adaptation, money-and-power or sectarian belief. Steiner stress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concepts which can contain growth and change rather than stifle the child. Steiner philosophy provides room for a new culture to stir, rooted in our human wholeness and lifted by a universe of spirit and soul.
    Steiner’s theory of vocational education gives to the child a universe of spirit and soul. Steiner thought that vocational education leaded to the child sees his own connection with the world and the connection with the living earth. And poetical feelings are awakened, imaginative feelings which are slumbering in the child. Thus the child is truly led, through his feelings, to find his place in the universe, and vocational education can become something which leads the child to moral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living life. Steiner emphasized that education could not consist of outward technical rules but had to proceed out of a true knowledge of man which would lead to a “feeling oneself as belonging to the world”. The vocational education is never divorced from inner awareness in Steiner’s theory, but rather, is the expression of soul and spirit. This dynamic of art is at the heart of life. It engages us wholly, inside and out, head, heart, and hands. The principles of
    Steiner’s theory of vocational education are composed of ‘the principle of wholeness’, ‘the principle of unification’, ‘the principle of living life’ and ‘the principle of imitation’. Steiner intended to achieve of the real man through the principles of the vocational education.
    Steiner’s theory of vocational education shows that it is not the labor for money but the work for understanding other world and making a man wholly. Therefore we can rate his theory of vocational education high.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