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자기조절기능의 발달수준에 따른 컴퓨터본위수업의 통제방략이 학습과 동기에 미치는 효과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1995.01
31P 미리보기
자기조절기능의 발달수준에 따른 컴퓨터본위수업의 통제방략이 학습과 동기에 미치는 효과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33권 / 5호
    · 저자명 : 洪奇七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험
    Ⅳ. 논의
    Ⅴ.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본위수업에서 자기조절기능의 발달수준과 수업통제방략이 학업성취, 학습동기 및 학습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려는 것이다. 피험자는 국민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 각각 252명이었다. 피험자를 자기조절기능수준(상ㆍ중ㆍ하)에 따라 세가지 수업통제방략에 각각 무선배치하였다. 컴퓨터본위수업자료는 거미생태에 관한 언어정보 프로그램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에 있어서 자기조절기능의 주효과는 국민학생에게는 나타났으나 중학생에게는 나타나지 않았고, 통제방략의 주효과는 국민학생에게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학생에게는 나타났다. 둘째, 학습동기에 있어서 자기조절기능의 주효과는 국민학생, 중학생 양집단에 모두 나타났으나 통제방략의 주효과는 양집단에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세째, 학습시간에 있어서 자기조절 기능의 주효과는 양집단에 모두 나타나지 않았으나 통제방략의 주효과는 양집단에 모두 나타났다. 그리고 세가지 경우 모두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al levels of self-reguratory skills and types of instructional control strategies on learning and motivation from computer-based instruction.
    Subjects participating were 252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252 third graders of middle school. Based on the level of their self-regulatory skill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hree instructional treatments: Program control, learner control, and learner control with advisement. Self-regulatory skills were measured by 40 items on 14 self-regulatory strategies.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the computer-based verbal information lesson developed for teaching on the ecology of 'Tarantulas' which are spiders that live in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The learner control group was given control over lesson sequence. review, and practice questions. The learner control with advisement group was presented with the same lesson as the learner control group except that advisement was provided at each decision point in the lesson. A ramdomized block design was employed as the experimental design, and ANOVA, Duncan's posttest, t test,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igh levels group of self-regulatory skills of 6th grader of elementary school performed better than low levels group in the scores of posttest and program control group of 3rd graders of middle school performed better than learner control with advisement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lf-regulatory skill levels and control strategies on performance.
    2. Higher levels group of self-regulatory skills were higher than lower levels group in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3rd graders of middle school in the scores of IMM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lf-regulatory skills levels and control strategies on learning motivation.
    3. Students under program control took less time to complete their learning tasks than those under learner control with advisement, and students under learner control with advisement took less time than those under learner control in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But Strudent under program control took less time than those under learner control and learner control with advisement in 3rd graders of middle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