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울즈와 긴티스의 포스트 마르크스주의로의 전환과 신교육이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1993.01
26P 미리보기
보울즈와 긴티스의 포스트 마르크스주의로의 전환과 신교육이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31권 / 5호
    · 저자명 : 김천기

    목차

    요 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사회적 재생산이론의 한계성: 이론적 한계와 그 시대적 맥락의 변화
    Ⅲ. 사회영역 - 사회적 행동 이론: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갈등 탐색
    Ⅳ. 포스트 마르크스적 미국 사회 위기 분석과 현행 교육개혁 이해
    Ⅴ. 맺는 말

    Abstract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마르크스적 재생산 이론가로 알려진 보울즈와 긴티스가 종전의 마르크스적 입장을 탈피, 새롭게 제시한 소위 “포스트 마르크스”적 교육이론을 고찰하고 있다. 특히 (1)
    종래의 사회적 재생산이론 이후 새롭게 제시한 신이론의 포스트 마르크스적 특징은 무엇일까? (2) 신이론에서는 선진자본주의의 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이는 종래의 마르크스적 재생산 이론과 어떻게 다른가? (3) 그리고 포스트 마르크스적 시각에서는 신우익의 주도로 이루어진 1980년대 미국 사회의 변화와 교육개혁의 성격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와 같은 질문들에 대한 논의를 통해 보울즈와 긴티스의 포스트 마르크스 이론이 자본주의 사회의 교육의 역할에 대한 이해 방식에 새로운 패러다임적 전환을 가져왔는가를 평가하고, 또한 사회, 교육 변혁 운동에 갖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논의하고 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my aim is to examine the paradigmic shift of postMarxist educational theory of S. Bowles and H. Gintis, and its implication for the social and educational transformations in liberal democratic capitalism through the analyses of the following questions : (1) what are postMarxist characteristics of the new theory set forth by Bowles and Gintis ; (2) how education is understood from this postMarxist theory ; and (3) how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 in the postMarxist theory is different from that of Marxist social reproduction theory. In particular, its implication is examined and discussed through the additional analysis of the social and educational changes made by the American New Right in the 1980s from this theoretical perspective.
    In the new PostMarxist approach the Marxist reproductive argument that schoolings' role is to reproduce the capitalist hierachical relations of production is considered as too simple. Instead the role of edcuation must be seen as contradictory. That is, it is argued, education plays dual democratic and reproductive role. This new view on the role of education derives from the new postMarxist theoretical position on social formation is contradictory. This contradiction between democratic person rights and capitalist property rights is not the contradiction in Marxist sense. The contradiction of Marxism is the one ingerent in the social relations of production. Neither it is the contradiction in liberal sense, because liberals have generally assumed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person rights and property rights. However, although the postMarxist approach rejucted the liberals' assumption, the hard core of the postMarxit approach is not beyond liberal, so far as Bowles and Gintis take as their postMarxist theoretical base the liberal discourse of rights. The conclusion is that the postMarxist educational approach has made paradigmic shift from the Marxist reproduction approach, but that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 post<arxist approach as a new paradigm distince from liberal paradigm, though it may be called as a "postliberal" approach.
    On the other hand, in this postMarxist perspective, the social and educational changes made by the New Right in the 1980s can be understood as the case in which the New Right has advanced its claims for the restoration and extension of property rights in all the social spheres including education. The implication of the postMarxism for progressive social and educational changes is that it is critical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democratic person rights and extend it In the face of no less expansionalry claims of property rights. This suggests the need of new social movements in which we appropriate the discourse of person rights in the hegemonic struggle for a democratic society. This new postMarxist discourse of social struggle is redically different from the Marxist discourse of class struggl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