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道德教育의 理論定立을 爲한 基礎硏究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1981.01
16P 미리보기
道德教育의 理論定立을 爲한 基礎硏究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19권 / 3호
    · 저자명 : 韓冕熙

    목차

    Ⅰ. 序論 : 道德敎育의 問題와 綜合的 接近의 必要性
    Ⅱ. 道德敎育의 本質과 道德敎育의 接近方法
    Ⅲ. 道德性 形成過程에서의 諸 要因間의 關係
    Ⅳ. 結議 및 結論
    〈參考文獻〉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foundations of moral education for synthesizing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pproach.
    The specific objectives are to identify the followings;
    1) What are the factors of the morality?
    2) What approachs are possible in moral edu¬cation?
    3) What ar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pproachs for moral education?
    4) What are the inter-relevance of those approachs?
    5) What should be improved in moral education in terms of objectives. contents, methods, materials, evaluation and the role of teacher,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erized as follows;
    1) The cognition. feeling, affection. motive, habit and action appea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moral education.
    2) The integration of morality as supreme good would be developed by the synthetic approachs of higher intellectuals, abundant feeling. affection. intensive goodwill and action.
    Particulary, the affluent feeling and affection were found as very important factors for relating the intellectual variables.
    Thus, the synthetic approach for moral education was found to be effective rather than any single approach.
    The tacit knowledge by intuitive and aesthetical cognition was revealed as the basic factors of moral education, including liberal arts.
    Therefore. the intentional attempt with aesthetical experience were found to- be the. new noticeable factor in moral educatio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etected. facts of it suggest that we might improve moral education on its range; objectives. contents. methods. materials, evaluation, and the role of teacher, etc, as follows;
    First, moral education must be implemented by all subjects that contain moral topics.
    Second. in the objective of moral education. it must be acknowledged on the factor of tacit knowledge, and is rerealed comprehensive objective.
    Third. not only the process of moral edu¬cation itself is admitted as contents. but it must be morally sound.
    Fourth, the speech and action of teacher must be accomplished by coherent beliefsystem, and it must be moral one.
    Fifth. the appraisal of the students, morality should not implemented by partial and quantitative method. but realized by intuitive and entire method, through investigating and analyzing students. producing another evaluation methods, and dialogue with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