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사회복지의 문제점에 관한 구조화분석 : 부산진구를 대상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2.02
25P 미리보기
지역사회복지의 문제점에 관한 구조화분석 : 부산진구를 대상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64권 / 1호
    · 저자명 : 박정미, 박성현, 유동철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부산진구 지역사회복지의 현황과 조사설계
    4. 실증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구조모델(structural model)방법론의 하나인 DEMATEL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복지 현
    장에 존재하는 복잡한 문제(과제)의 전체 구조를 파악함으로, 문제발생의 메커니즘과 본질을 추적하기 위한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지역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복지와 관련된 문제는 어떠한 것들이 존재하고 있
    는가? 둘째, 지역사회복지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하여 어떠한 의식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셋째, 지역사회복지와 관련된 계획수립, 예산배분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직공무원과 현장에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 시민의 입장에서 비판하고 감시하는 시민운동가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관하여 어떠한 인식구조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례지역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로 설정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제1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이 수립된 해인 2005년부터 현재까지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부산진구 지역사회복지의 주된 문제구조는 ‘복지예산 편성이 절차적으로 합리적이
    지 못함’, ‘구의 외곽지역이 빈민지역의 형태로 격리되고 있음’, ‘지역 불균형 문제가 심각함’, ‘구의 장
    래 인구구조에 맞는 복지서비스 대응체계가 부족함’이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지역 내 사회적 자원
    의 빈부격차가 나타나고 있음’의 형태로 나타났다.
    직종별 결과를 보면 사회복지직공무원은 ‘지역 불균형 문제가 심각함’ 사회복지사는 ‘구의 장래 인구
    구조에 맞는 복지서비스 대응체계가 부족함’와 ‘지역내 사회적 자원의 빈부격차가 나타나고 있음’으로,시민운동가는 ‘단기간의 욕구조사로 인해 다양한 복지수요 파악의 한계가 있음’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진구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및 개별 프로그램 수립의 틀(framework)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chanism and essence of problems
    by understanding the whole structure of the complicated problems that exist in
    the social welfare field with DEMATEL method, one of structural models.
    This paper consists of (1) What kind of social welfare problems exist in the
    community that is related to welfare? (2) What kind of thoughts do people who
    work in social welfare field have related to these problem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tructure of thoughts among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who take
    charge of planning and dividing budgets for community welfare, social workers
    who provide services personally and civic activists who criticize and keep watch
    on behalf of civilia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in Busan Busanjingu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year of
    2005 when community welfare plan was first established up to now.
    The major structural problems of the community welfare of the Pusan Jin-gu,
    Korea, are: 1) welfare budget allocation procedure is not logical, 2) the outskirts
    of the Pusan Jin-gu are isolated as poor areas, 3) geographic imbalance is severe
    among communities, and 4) the social welfare response system to support future
    population structure needs to be more developed. All of these problems are the
    fundamental origin to the social resource disparity within communities.
    The major problem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n Pusan Jin-gu, Korea
    were recognized by different perspective in terms of professional career such as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social workers, and civic activists. Majority of the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thought “severe geographic imbalance”; majority of
    the social workers believed “lack of the social welfare response system to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in the future” and “disparity in social resources
    within the communities”; and majority of the civic activists said “limitation for
    understanding various social welfare needs because of short term need
    assessments” as main issue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t seems that this paper is able to be used as a framework to establish
    community welfare plans and individual programs in Busan Busanjingu.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