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명 조식의 선비정신과 도덕교육 : 의(義)를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2.07
32P 미리보기
남명 조식의 선비정신과 도덕교육 : 의(義)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도덕윤리과교육 / 36호
    · 저자명 : 장승희

    목차

    I. 머리말
    Ⅱ. 의(義)의 본질은 무엇인가?
    Ⅲ. 남명사상의 형성과 특징
    Ⅳ. 남명 선비정신의 도덕교육적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남명 조식은 16세기 퇴계․율곡과 같은 시대를 살았고 그들과 더불어 도학(道學) 선비로 불리지
    만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수많은 선비들 중 남명이 선비정신의 대명사로 꼽히는 것은 그
    의 실천적 의리(義理) 정신 때문이다. 남명은 경(敬)으로 내면을 수양하고 현실에서 의(義)를 실
    천하고자 노력한 선비였다. 16세기 사화(士禍)의 시기에 그는 철저하게 의(義)에 근거하여 출처
    를 결정하였고, 혼란한 정세에서 처사(處士)의 길을 선택하여 수기(修己)․치인(治人)의 유교 이상
    을 실현하고자 했다. 1980년대 이후 남명과 그의 학파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지기 시작하였고,
    2000년대 남명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져 기본적 연구는 충분히 축적되
    었다고 할 수 있다. 이제 중요한 것은 현재 이루어진 이러한 성과들을 도덕교육에 어떻게 반영하
    고 수용할지이다. 남명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에서 드러나는 학문과 출처관, 경의(敬義)사상을 바
    탕으로 한 실천, 상소문에 드러나는 애민사상과 비판정신 등은 그의 선비정신을 구성하는 내용들
    이다. 남명의 선비정신은 최소도덕의 원리에 의해 운영되는 현대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의리(義理)
    를 바탕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삶의 철학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이 글은 선비정신에
    초점을 두고 남명사상을 분석․정리하고, 향후 도덕교육과정 체제 구성과 교과서 집필 시 이 가운데
    어떤 내용들을 포함시킬지와 그 방향성을 도덕교육적 관점에서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영어초록

    Nammyeong(南冥) Jo Sik(曺植, 1501-1572) is named for the synonym for the seonbi
    with Toegye(退溪) Yi Hwang(李滉, 1501-1570) and Yulgok(栗谷) Yi Yi(李珥, 1536-1584)
    who lived in the 16th century. Nammyeong is too low appreciated in a valuation on
    his practical achievements in comparison with both Toegye Yi Hwang and Yulgok Yi
    Yi. One reason of underestimation is the insufficient literary works about philosophical
    theory. Another reason is related to political environment of four massacre of scholars
    which was influenced him to give up entering the service of government office in
    those days. It begins to pay attention to Nammyeong for the first time in the 1980's.
    The lively studies of Nammyeong in the 2000’s are needed as an alarm bell in the
    capitalism society. The studies of Nammyeong are quantitatively somewhat enough
    until now. However, there is no result related to moral education toda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application of study results to recent moral education.
    Nammyeong had never enter the service of government office his whole life in spite
    of several chances, but he always took a look in the political situation and had an
    interest in the voice of the people. He try to cultivate the inner mind with Gyeong
    [敬], and treat other people; outside with Yui[義]. He presents four memorials to the
    King about political situation with his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It clearly
    discovered critical cognition into political affairs in those days, the thoughts loving the
    people, the viewpoint of severe criticism on 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educational contents up which are included in curriculum and textbook of moral
    education about Nammyeong. The practical life is the significant reason which
    Nammyeong Jo Sik is a synonym among scholars in the Chosŏn dynasty. The moral textbook writer has to considerate three matters. First, the life as a retired gentleman
    who holds no office and the situation of those times. Second, Gyeong[敬] and Yui[義]
    as a core of seonbi spirit. Three, critical cognition into political affairs and the
    thoughts loving the people in the memorial to the 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덕윤리과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