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천년학습자의 ICT 활용에 대한 질적 탐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1.01
19P 미리보기
새천년학습자의 ICT 활용에 대한 질적 탐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연구 / 21권 / 1호
    · 저자명 : 김동완, 허희옥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ICT 활용의 개인 경험
    Ⅴ. ICT 교육에 대한 인식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새천년학습자의 ICT 활용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을 위한 ICT 교육, 정보교육의
    미래지향적 방향을 제안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980년 말에 태어나
    현재 대학생활을 하고 있는 두 사람의 삶의 경험을 이야기 방식으로 수집하고 엮어가면서 경험적 속
    성을 파악해가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심층 면담 및 관찰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
    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다양한 테크놀로지의 멀티 활용, 인터넷
    자료 의존, 확실한 의사표현, 학생들의 경험과는 동떨어진 ICT 교육 현황 등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
    로, 새천년학습자를 위한 미래 ICT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ICT use of New Millennium Learners (NMLs) and provide future directions for ICT
    education. The study conducted a narrative inquiry with two participa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mpirical
    characteristics of NMLs, who being born in the late 1980s, have lived with and learned a great deal from technolog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wo students, one male and one female, both born in 1989. They were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computer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s and personal journals were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The in-depth interviews consisted of unstructured questions about individuals’ life styles and
    behaviors on ICT use. There were three 30-60 minute interviews for each subject. In addition to these interviews, each
    subject’s school life was observed by us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Also, each subject’s friends were asked to collect a
    variety of data regarding the subject’s actions. All data was recording during interviews and then transcribed. Member
    checking method was applied in order to validate the interpretations and findings.
    As a result, their several characteristics were interpreted and discussed as follows:
    First, technology is a significant part of their life. Both subjects began using computer technology even before
    entering to elementary schools. This allowed both subjects to become comfortable with computers and able to use
    computers naturally.
    Second, connectivity in anytime and in anyplace is an essential way to meet people. The communication tool
    preferred by them was messaging services. The main modes of communication used for both subjects were text
    messages via mobile phones and computers. Also, both subjects always logged onto messenger programs whenever they
    were using computers. Even though they were not constantly interacting with someone through the messaging system,
    being logged onto such programs allowed them to be available and then to communicate with others whenever they
    wanted. Third, the Internet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m to get access information. One participant mostly used
    the Internet to read news, while the other participant took part mostly in web surfing.
    Fourth, the use of modern technologies comes naturally for them to learn new things. Both subjects used a variety
    of portable devices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or listen to internet lectures. Not only were these devices used for
    studying, but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was spent on entertainment purposes.
    Lastly, they have their own opinions and preferences, which make their directions to behave. When they encounter
    a moment or a problem that directly links to their interests, they tried to do their best to complete although it has
    certain difficulties. However, they seemed like to have a negative perspective or feel aversion against to the situation
    that they do not lik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