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대중·노무현 정부 장애인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1.01
21P 미리보기
김대중·노무현 정부 장애인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 16호
    · 저자명 : 김진우

    목차

    1. 들어가면서
    2. 장애인정책 추진의 환경 변화
    3. 장애인정책 추진의 거시적 흐름
    4. 각 정책영역별 추진내용
    5. 김대중·노무현정부 장애인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6.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장애인정책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여 그의 함
    의를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각 정부에 대한 평가 또는 토론은 많으나 두 정부의 장애인정책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데 초점을 둔 선행연구는 거의 없다는 점에서 이 글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
    구결과에 따르면 거시적으로는 이전 정부와는 달리 제1,2차 장애인복지발전5개년계획 및 장애인지원
    종합대책을 통해 장기전망을 시도·추진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미시적으로는 장애범주 확대 및 등
    록장애인 수의 증가, 장애수당 개선, 활동보조제도 및 차별금지제도 도입, 장애인소득보장, 교통 및
    시설에의 접근성 강화 등이 긍정적인 노력의 결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장애 조기발견과 조기개
    입서비스를 위한 지원체계, 장애인 교육과 고용 및 보건과 복지 등 정책간 연계 및 파트너십, 장애어
    르신에 대한 전문서비스를 포함한 노인정책과 장애인정책간의 연계 등 근본적으로 다루어야 할 이슈
    들에 대해서는 침묵하였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앞으로는 장애인정책의 역동성을 이해하면
    서 한편으로는 근본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선행조건으로 간주되는 주요 사안에 대해서는 정부를
    뛰어넘어 지속적인 정책의제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to explore implications and limits on disability policy during Kim Daejung and Nho
    Muhyun Regime by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policy process. The previous articles fail in encompassing
    disability policy during the two regimes, which implies the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will be different in comparison to the disability policy at the previous regime to initiate
    long-term disability policy at the macro perspective. From the micro-viewpoint, they can be considered
    great outcome such as broadening disability category and increase of registered disabled people, improving
    disability allowance, new deployment of activity assistance and discrimination policy, enforcing accessability
    toward traffics and physical structures. However, some substantial policy such as support system for early
    discovery and intervention on physical and mental impairments, policy partnership between
    education-employment and social service-public health have not been tried to deal with in depth. In the
    future, there need to understand dynamics of disability policy and manage prior policy agenda which should
    be implemented without unreasonable stop or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장애인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