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거학 전공분야를 위한 공간정보 관련 교과과정 개발 기초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1.05
10P 미리보기
주거학 전공분야를 위한 공간정보 관련 교과과정 개발 기초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22권 / 3호
    · 저자명 : 박남희, 최재순

    목차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II. 공간정보 현황
    III. 공간 관련 대학교육 현황
    IV. 주거학 분야에서의 공간 연계 학문교과과정 개발
    V. 결 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 관련 분야의 대학교육 현황을 조사하여 주거학 전공 분야 실정에 맞는 공간정보 관련 학문 교과과정의 기초를 연구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정보산업의 현황을 조사한다. 즉, 공간정보 서비스, 공간정보산업, 공간정보 분야 인력 양성 등을 조사한다. 둘째, 현재의 대표적인 공간 관련 대학교육 현황을 조사한다. 즉 공간정보 교육기관과 공간 관련 교육기관의 현황을 조사한다. 셋째, 주거학 분야에서 공간 연계 학문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 기초적인 교과과정 모델을 구축 제시한다.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범위는 국토해양부의 인터넷 홈페이지와 인터넷상에 자체 홈페이지를 가지고 있는 전국의 4년제 대학교로 주거학 관련 학과 20개와 건축 전공의 학과 160개를 중심으로 한다. 박남희, 최재순(2006)의 연구결과를 기준으로 현재의 변화 상태를 조사하며, 본 연구는 문헌조사, 인터넷 홈페이지 내용을 바탕으로 한 내용분석연구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urriculum of spatial convergence studies for the major field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Documentary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Data drawn from internet homepage of each universities which were 20 colleges the major field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and 160 college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public institutions the MLTM and the KRIH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Government has been supported the specialized graduate school of spatial information and the university which they have spatial information curriculum during 5 years. 2) The department of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educated the theory and practice about spatial issues in order to train the spatial specialist helpful to the new growingindustry. 3) There were little changed curriculum which has related to the department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The half of their curriculum were housing project and interior design. The spatial convergence studies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grow up step by step. The first is basic level to learn the basic theory of spatial studies for examplethe spatial introduction or the housing and the second is low level to learn the depth theory of spatial studies for example the design I or the housing development. The third is middle level to apply the depth theory of spatial studies for examples the design II, III or housing policy and institutions. And the last is high level to practice the depth theory of spatial studies for example housing construction or inter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주거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