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적응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차이와 차별을 넘어 융화되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1.11
26P 미리보기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적응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차이와 차별을 넘어 융화되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학교사회복지 / 21권
    · 저자명 : 김애진, 정원철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청소년의 성공적인 학교적응 과정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
    해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적응 과정은 어떠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부산지역의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북한이탈청소년 9명이었다. 연구결과 총 100개의 개념과
    32개의 하위범주, 17개의 상위범주로 유목화 하였다. 이 범주들은 인과적 조건(다른 환경에 전입), 중심현상
    (위축, 막막함), 맥락적 조건(소외감, 대화의 어려움, 기초학습의 부재), 중재적 조건(의지할 친구, 가족의 지
    지, 선생님의 도움, 다양한 지지체계), 작용/상호작용전략(의지력 발휘, 신분을 알림, 인정받으려는 노력, 또
    래와 어울림), 결과(학교에 통합, 감사하는 태도, 의기소침)로 분류되었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적응 과정
    은 '낯선환경 전입단계, 위축단계, 대처단계, 적응단계'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는 ‘차이
    와 차별을 넘어 융화되기’이다. 유형은 ‘적극 노력형’, ‘소극적 대응형’, ‘위축형’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 청
    소년의 학교적응을 돕는 주요인은 다양한 지지체계, 원만한 친구관계, 적극성, 신분노출 등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적응 과정과 유형 등을 밝힘으로써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적응과정에 대
    한 실제적 이론구축 및 정책적, 임상적 개입에 그 함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grounded theory for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who were new
    settlers(North Korean defectors). With the question of ‘how young new settlers have adapted to a school?’
    the study attempted to adapt a grounde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1990). Nine new settlers
    who were currently attending secondary school in Busan area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100 concepts
    with 32 sub-category and 17 upper-category were classified for the study. These categories in turn were
    classified as cause and effect condition (transference to the new environment), main phenomenon(withdrawal,
    helplessness), contextual condition(isolation, difficulty in communication, low function in studying), mediating
    condition(willpower, dependable friends, family support, teacher support, several support system),
    action/interaction strategy (active encounter, being sociable, endeavor for recognition, planning for the
    future) and result (integration, satisfaction, depressive state). The process of adjustment for the school had
    the following steps: ‘transfer to strange environment’, ‘withdrawal’, ‘coping’, ‘adjustment’. Main theme
    was ‘to overcome their identification and assimilation’. Types were ‘active endeavoring’, ‘passive coping’,
    ‘shrinking’. This study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make a practical theory, and to provide policy and
    empirical appl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교사회복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전